
농업진흥청에서 나온 보도 자료 입니다.(21년 10월 22일)
건강에 생활에 도움이 되시기 바람니다.
보 도 자 료 | |||||
2021년 10월 21일(조간)부터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월 20일 11시부터 보도 가능 |
|||||
배포일시 | 2021.10.20.(총 3쪽) | 담당부서 | 약용작물과 | ||
담당과장 | 윤영호 과장 (043-871-5650) |
담 당 자 | 김장훈 연구사 (043-871-5674) |
농촌진흥청, 여주 열매의 염증 억제 효과 확인 - 특정 화합물, 염증인자 발현 50% 억제…기능성 원료 활용 기대 - |

<여주>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약용작물 여주 열매의 주요 성분이 염증을 막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여주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재배되는 채소로, 당뇨, 설사, 복통 치료를 위한 한약재로 사용되며 최근 항당뇨 효능이 입증됐다.
○ 여주의 주요 성분은 페놀,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으로 알려졌지만,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의 경우에는 효능 관련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 농촌진흥청은 상지대학교 양서영 교수팀과 공동으로 메탄올 추출 방법을 활용, 여주 과육(열매살)에서 15개의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 아울러 15개의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가 동물세포1) 에서 염증 매개체인 전염증 사이토카인2) 발현을 50%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염증 효능 화합물 (SB2035803) )보다 우수한 결과이다.
여주 과육으로부터 분리해 효능을 밝힌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 |
○ 특히 15개 화합물 가운데 6번, 11번, 12번 화합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이 억제돼 다른 화합물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 이번 연구는 여주에 함유된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의 구조를 밝히고, 염증 저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몰리큘스(Molecules)’에 올해 7월 실렸다.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윤영호 과장은 “여주 과육의 항염증 효능을 밝힌 이번 연구는 여주의 소비 증진에 기여할 뿐 아니라, 기능성 원료 소재로 활용하는 데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양서영 교수는 “연구 내용을 여주 성분의 항염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토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여주 과육의 항염증 효능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김장훈 농업연구사(☎ 043-871-5674)에게 연락 바랍니다. |
<참고자료>
□ 여주 과육 화합물 1-15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12p40, TNF-α) 저해 효과
화합물 | IC50(μM) | ||
IL-6 | IL-12p40 | TNF-α | |
1 | 0.89±0.12 | 1.19±0.12 | 2.81±0.26 |
2 | 1.62±0.21 | 0.73±0.04 | 2.62±0.18 |
3 | 0.25±0.01 | 0.50±0.00 | 4.36±0.04 |
4 | 0.36±0.02 | 0.03±0.00 | 0.81±0.07 |
5 | 0.58±0.02 | 0.06±0.02 | 2.14±0.15 |
6 | 0.38±0.04 | 0.01±0.00 | 0.04±0.01 |
7 | 1.30±0.22 | 0.55±0.05 | 3.89±0.15 |
8 | 1.35±0.05 | 0.07±0.01 | 1.57±0.21 |
9 | 0.57±0.00 | 0.05±0.01 | 0.09±0.03 |
10 | 0.86±0.00 | 0.55±0.01 | 2.14±0.00 |
11 | 0.16±0.01 | 0.07±0.09 | 0.03±0.00 |
12 | 0.03±0.01 | 0.05±0.03 | 0.14±0.01 |
13 | 1.96±0.10 | 0.80±0.09 | 0.39±0.02 |
14 | 0.75±0.04 | 0.30±0.00 | 0.81±0.01 |
15 | 1.55±0.25 | 1.36±0.10 | 3.72±0.01 |
(양성대조군) SB203580 |
5.00±0.08 | 3.50±0.08 | 7.20±0.06 |
☞ 이 표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50% 정도로 줄었을 때의 농도를 표로 나타냄. 여주과육으로부터 분리된 15개 화합물 1-15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저해 효과를 보면 IL-6, IL-12p40, TNF-α 에 대해 화합물 12, 6, 11이 각각 0.03±0.01, 0.01±0.00, 0.03±0.00 μM의 IC50농도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 여주 과육에서 분리한 큐커비테인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 중 12, 6, 11번의 구조
<여주 과육으로부터 분리 규명된 대표 화합물> (12) (23E)-3β-히드록시-7β,25-디메톡시-큐커비타-5,23-디엔-19-알 (6) 모모디코사이드 F2 (11) (19R,23E)-5β,19-에폭시-19-메톡시큐커비타-6,23-디엔-3β,25-디올 |
1) 쥐과의 골수 유래 수지상 세포(murin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
2) 염증반응 신호전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ion cytokines: IL-6, IL-12p40, TNF-α).
3) 염증성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p38 MAPK 저해제(p38 MAPK inhibitor).
'쥔장->약초산행기 > 약용·버섯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공부) 초피와 산초구별하기 (0) | 2019.10.15 |
---|---|
(식용버섯) 태풍에 버섯산행은 못가고 "식용버섯" 공부 합니다. (0) | 2019.10.03 |
상황버섯(진흙버섯) 이용방법 이해 (0) | 2018.11.30 |
10월 12일 국산송이와 수입송이구별하기 (0) | 2018.10.12 |
능이버섯(향버섯) (0) | 2016.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