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엄나무 줄기삽목미나리 전정 작업 하기
|
반갑습니다.
약초꾼 참살이 입니다.
코로나가
인도발 감염급증 상태에
매 시간마다 나오는 뉴스 보기가 두럽네요.
어제 어린이날을 맞이해서 각 놀이공원마다
인파가 넘치는 기사에 간담이 서늘하여 뭐라 입이 다물지 못하겠습니다.
내만~~~긴장하는 것인가 싶은 것이 막막 합니다.
어찌 되어든
조심 또 조심해서
이 어려운 난국에 슬기롭게 건강을 지켜 나가야 겠습니다.
안전 불감증에 정말 신이 있다면
인간에게 보내는 경고 신호라고 봅니다.
참고로 한번 어떤 병이든 걸리면 후유증이 있고
이 휴유증이 평생을 괴롭힌다는 것을 알면 좋겠습니다.
아무리 의료기술이 발달해도 완벽치료는 있을 수 없다고 전 봅니다.
지난번 4월 26일에
민엄나무 뿌리삽목하고
이번에는 같은 화분에 민엄나무 줄기를 삽목해 보았습니다.
뿌리가 잘 살아난다고 합니다만
줄기또한 가능하리라 보고 같이 시험 재배하여 봅니다.
결과는 수시로 사진을 통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TIP >>>민엄나무 줄기 삽목<<<
1) 민엄나무 줄기의 눈이 3개이상 나오도록 잘라 준다.
2) 민엄나무 심는 부분에는 비스듬이 각을 준다.
3) 민엄나무 심는 부분을 뿌리촉진제 처리를 합니다.
(제 경우는 물에 희석해서 1시간 이상 침수처리 합니다.)
4) 민엄나무를 침수 후 건조 합니다.-1시간 이상 건조-
5) 민엄나무가 물기가 마르면 화분에 심습니다.
민엄나무 줄기 삽목 |
지난번
뿌리를 삽목한 화분 입니다.
뿌리삽목 한지가 4월 26일 했고~~오늘이 5월 5일이니
약 9일이 경과 했네요.
잘 살아나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지
또 촉을 내어서 지상으로 줄기가 올라오고 있는지 궁금 하네요.
오늘은
이 화분에 민엄나무 줄기를 삽목 합니다.
한 화분에 뿌리도 삽목했고
한 화분에 줄기도 삽목했습니다.
민엄나무 줄기 삽목한 모습
삽목하는 기술을 배운것도 아니고
어릴적 책에서 조금 본것 기억해 내어 도전해 봅니다.
줄기의 눈이 3개이상 나오도록 줄기를 잘라 주고....
이 3개의 눈 중에서
2개는 땅에 묻도록 하고
1개의 눈만 지상에 나오도록 해서 새싹이 형성되도록 했습니다.
새로운 뿌리가 내려 가족(잎과 줄기)을 거느리기 위한 시간을 주는것 입니다.
(보통분들은 1개의 눈을 심고 2개의 눈이 지상에 나오게 합니다만)
민엄나무 줄기가
합이 8개정도를 만들어 삽목 했습니다.
민엄나무는 줄기의 중심부가 약해서 수분이 쉽게 증발되어
정정한 부분을 도포를 해야 줄기의 수분증발을 막을수 있습니다.
저는 촛물을 녹여서 도포작업을 했습니다.
사람으로 치면
수술을 하여 피가 넘치어
심하면 출혈과다로 생명에 지장을 줄수 있어
지혈작업을 하듯이.....
이 민엄나무도
전정한 부위에 수액(혈액)이 흘러 내리어
증발과다로 인해 말라 죽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정한 부분을 도포하여 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시중에 파는 도포제는 비싸고 전업농부님들 하는 것이고)
삽목한 민엄나무의 모습
촛물을 녹여서 전정한 부분을 도포하고
눈은 하나정도 지상부에 나오게 하였습니다.
나머지 두개의 눈은 땅속에 묻어 뿌리가 나올수 있도록 했습니다.
방법은 맞는지 틀리는지 저도 모름니다.
어릴적 기억을 소환해서 하는 작업이라........
예상하건데
2~3달정도 있으면 새싹이 나오고
분가를 하여 정상적으로 키울수 있다 합니다.
단 살아 난다는 전제가 있습니다만.....
미나리 전정 |
지난번 미나리를 심고
줄기정리를 못하여 지저분 한것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3일이 지난 모습 입니다.
미나리는 자생력이 좋아 잘 산다고 하더니...정말 잘 살아 나네요.
벌써 여기저기서 새싹을 내밀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전정정리를 하지 않은 모습 입니다.
처음 해 보는 작업이라 이렇게 심어두니
나중에 새로운 미나리가 싹을 내밀면 뭔가 수확에 어려움이 있을것 같아
지상부에 올라온 줄기를 전부 전정 하였습니다.
마치 부추 수확하여 깔끔하게 하듯이.....
그렇게 전정작업을 한 후에
3일이 지나니 새로운 싹을 내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뿌리를 내려서 나름 자생력을 가지고 있어나 봅니다.
음~~~~!
한달정도 지나면 많이 자라 있지 않나 생각 합니다.
그때는 미나리를 먹을수 있겠지요.
약초꾼 참살이는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여
가급적 자연에서 채취를 자제하고 이렇게 작목을 합니다.
농업전문인이 아니라서 서툴지만 최선을 다 하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약초텃밭이야기 > 2021약초텃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텃밭) 쪽파 수확 후 저장하기 (0) | 2021.05.12 |
---|---|
(텃밭) 고추 끈작업과 Y자 지지대 세우기 (0) | 2021.05.11 |
(텃밭) 김장용 고추와 땡초고추 텃밭에 심기 (0) | 2021.05.03 |
(텃밭) "땅콩과 수세미오이" 모종 텃밭에 심기 (0) | 2021.04.30 |
(텃밭) 미나리&민엄나무 재배 도전~~~! (0) | 2021.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