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약초가공과 요리/약초차·청·고·환

2월 28일 위장에 도움되는 이중(인삼고)고 만들기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7. 3. 1.



위장에 도움되는

이중(理中고)고  만들기

 

오랜만에 이중고를 만들어 봅니다.

어릴 적 위가 허약해서 아버님이 수시로

위장에 좋은 약초를 큰 조선가마솥에 몇 날 며칠을 달여서

제게 주신 것이 기억나네요.

제 아버님은 약초에 많은 지식을 가지고 계셔서

원만한 병도 고치시고 꽤 알려진 민간인 이었습니다.

 

어릴 적 아버님이 해주신 것만큼은 아니지만

요즘 저도 세월이 가서인가 위가 약해져 소화력이 불편하여

위에 좋은 이중탕(인삼탕)을 만들어 먹고자 했습니다.

이중탕은 인삼이 주약이고 여기에 복령,백출,감초가 들어 감니다.

 

이중탕 = 인삼 + 복령 + 백출 + 감초

 

이중탕을 할까 하다가

요즘 한참 맨 들어 먹는 꿀로 버무린 환을 할까?

이리저리 고민하다가 환이 좋은 것 같은데……양이 너무 많아 만들다가

내 허리 다 뽀샤질 것 같아 다른 방법을 찾다가 이중고를 생각했습니다.

힌트는 경옥고나 도라지고에서 얻었고 ….

그럼 경옥고처럼 하면 되겠다 싶었습니다.

 

여기서는 편리상 인삼고(이중고)라 부르겠습니다.

인삼환을 만들어 먹어도 좋겠지만 재료의 양이 너무 많아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무엇보다도 환은 생약인 가루로 만들어 벌꿀로 버무려 만든 것으로 숙성발효가 없어 약성효과에 있어 부족하여 이 보다 더 약성이 좋은 인삼고를 생각한 것 입니다.

인삼고는 일정한 온도(뽕나무화력온도인 80)로 달여서 나오는 벌꿀반액체입니다. 이렇게 보름 동안 달이면 4가지의 약재가 열에 의해 서로 어우러져 깊은 맛과 발효에 의해 좋은 약재가 탄생 됨니다.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어렵고 긴 시간이 걸리지만 약성은 좋습니다.

처음에는 인삼(이중고)청을 할까 하다가

인삼청보다는 인삼고가 더 좋을 것 같아 인삼고인 한 것 입니다.

아참~~~

인삼청과 인삼고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찾아보았지만 어디에도 시원하게 답변이 되는 것이 없네요. 그래서 저는 나름 되로 제 방식 제 뜻대로 정의를 내려 당분간 정확한 정의가 나올 때까지 활용을 하겠습니다.

인삼청은 직화불로 졸여서 만든 것이고

인삼고는 간접열로 발효시켜 만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맞는지 저도 모름니다.ㅎㅎ

 

다시 한번 지 방식 되로 정리해보면(약성효과면에서)

약초를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생약 -> 인삼탕(물로 추출) -> 인삼환(벌꿀) -> 인삼청 ->인삼고  순서 입니다.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제가 가지고 있는 상식은 그렇습니다.

인삼고가 만들기가 까다롭고 힘들고 긴 시간을 요하지만 제 입에 들어갈 것이라

남는 것이 시간인데 직접 만들어 먹습니다.

여기서 뽕나무로 불을 때서 하면 좋지만 도시라 그리하면 소방차 출동할 것 같고

하여 약탕기로 일정온도 80도 유지시켜 만들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인삼고의 기본약재인 인삼,복령,백출,감초에

추가로 백하수오를 넣었습니다. 백하수오가 기와 혈을 살리는데 도움이 되기에,

일명 인삼고가백수오 방법입니다.

인삼고에 백수오를 추가하면 중가에 붙여서 부른다 합니다.

 

인삼고가 백수오를 만든방법은

1)약재를 가루로 내어 벌꿀에 버무려 옹기에 담습니다.

2)유산지로 덮어 습기유입을 막습니다.

3)옹기 주변에 물을 약재 높이보다 높게 보충합니다.

4)보름 정도 발효시킴니다.

5)매일매일 금속성이 아닌 주걱으로 버무려 줌니다.

6)보름 후 음용하시면 됨니다.

 

더 자세한 것은

인터넷에 많이 나와 있어니 스스로 공부해서 참고 하세요ㅎㅎ

그래도 모르면 문자 주세요.^^


이중고(인삼고) 만들기

위장에 도움되는 이중고를 만들겠습니다.


인삼에 복령,백출,감초와 백하수오가 가미된

좋은 약재를 꿀에 버무려 옹기에 담습니다.





이제 보름정도 긴 시간의

인삼고 만드는 여행을 떠나기 시작 합니다.

건강원을 하다보니 이렇게 기존 약탕기로 활용하니 좋습니다.

전기식이라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시킬수 잇습니다.

온도관리가 중요한데 온도를 뽕나무온도인 80도로 유지 합니다.



약초구입 전화산담 및 방문 환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