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가 있는 텃밭 이야기
열매들깨묘종
|
반갑습니다.
약초꾼 참살이 입니다.
비가 그치니
더위가 몰려와서 기온이 상승하여 숨쉬기조차 힘드네요.
제 어릴적에는 이 정도는 아니었다고 보는데
지구온난화 현상에 기온이 자꾸만 상승하는가 봅니다.
올여름도 기온이 40도 육박하는 날이 자주 있다 하니 걱정되네요.
한낮에는 활동을 자제해야겠습니다.
들깨 육묘기간이 22일 되어서
텃밭에 아주심기를 하였습니다.
좀 더 늦께 심어면 좋겠다 생각하지만
주변에서 너무 늦께 심는다고 걱정을 많이 하여서
작년과 같은 날 들깨모종을 텃밭에 심었습니다.
작년에는 나름 정성을 다해서 심었는지
들깨파종시 한 알씩 넣어 육묘를 하였지만
올해는 대충 들깨종자 넣다 보니 1~6개씩 들어간것도 있네요.
이렇게 많이 들어간 모종은
포기 나누기를 하여 밭에 심었습니다.
들깨는 생존율이 좋아서 이렇게 나누어 심어도 잘 살아갑니다.
오늘 허락된 시간이 오전이라
오전에만 들깨모종 한판 심고
내일부터 당분간 들깨모종 매일 심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들깨 포토파종과 정식
6월 12일 파종 --> 7월 3일, 4일, 5일 정식
육묘기간 : 21일
▶2023년 들깨 포토파종과 정식
6월 11일 파종 --> 7월 3일, 4일, 5일 정식
육묘기간 : 22일
들깨모종 포토파종(6월 11일)
농작물 재배 하다보면
본인도 모르게 자꾸 심는 시기를 앞당기는 경향이 발생해서
식물의 특성을 무시하여 심는 바람에 영양성장만 하여
비바람에 쓰러지고 결과가 좋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 합니다.
와이프가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니
들깨 너무 늦께 심는다고 걱정을 자주하여
늦추다 늦추다 포토에 파종 한것이 6월 11일이고
오늘 텃밭에 정식하러 나왔어니 육묘기간이 22일이네요.
(2022년도 농사일지를 보니 육묘기간이 21일이라 비슷 합니다.)
들깨의 육묘기간은
콩종류에 비하면 많이 늦고 많이 육묘기간을 잡아야 하겠습니다
들깨모종 텃밭에 정식
앞전에 마늘과 양파 수확 후
경운기로 땅을 뒤집어 주고 로타리 작업을 여러번 하여
땅을 부드럽게 한 후에 비닐멀칭을 하였습니다.
보름정도 비닐 내부 가스발생한 것이 날아가도록 시간을 주었습니다.
거름을 주면 대부분 비닐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식물에 해를 가합니다.
-->이때 발생한 가스는 식물의 뿌리를 녹여서 식물에 치명적 피해를 준다.
-->가스피해는 물을 흠뻑주면 쉽게 날아가는 경향이 있다 합니다.
-->그래서 비를 맞어면 가스가 빠진다 하여 비 소식을 기다리기도 합니다.
두둑을 넓게 잡아서
들깨모종을 3줄로 나누어 심기 했습니다.
구멍당 들깨 1포기가 좋지만....
포토파종시 한 알씩 파종이 어려워 많게는 3알씩 넣기도 하여
구멍당 1~3포기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정식을 했습니다.
포기당 거리를 넓게 하여서 이렇게 해도 충분히 광합성을 할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참고로 너무 좁게 밀식재배하면 광합성 부족으로 잎이 우수수 떨어지고
-->잎부족으로 들깨가 키가 성장하여 비바람에 쉽게 쓰러지기도 합니다.
-->무엇보다도 잎부족은 광합성 부족이라 열매가 적게 생산 됨니다.
-->많이 심어 많이 수확할렬다가 들깨농사 망치는 경우가 생김니다.
-->항상 심을때 광합성이 충분한지 생각을 하면 좋겠습니다.
3줄로 들깨 심었습니다.
심다보니 두둑이 넓어서
중간에 심는게 팔 길이가 부족하여 작업성에 어려움이 있네요.
두둑을 그냥 밟어면 흙이 다져지고...비닐이 파송되기도 하여서....
생각해 낸것이 플라스틱 판을 놓고 발판으로 했습니다.
조금이나마 작업성이 좋네요.
이 방법은 마늘과 양파 심을 때 하는 방법 입니다.
이렇게 두둑을 넓어서 작업성이 어려울때 활용을 하네요.
들깨묘종 심는 방법 추천
들깨가 비바람에 쓰러지기 쉬우니
"L"형태로 줄기를 옆으로 길게 묻어 심어면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고 강하게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모종 한판 심고....내일도 들깨 정식 하겠습니다.
날씨가 더워서 땀이 많이 나네요.
오전에만 텃밭일 할 수 있어....
이렇게 모종 한판 심으니 오전이 다 가네요.
아직도 모종 4판을 더 심어야 하는데.....작업진척이 늦네요.
급할것 없다는 생각에 천천히 이번주 내로 하겠다 생각하고 하겠습니다.
전업농이 아니고 텃밭인이라 이런게 좋습니다.
일을 급하게 서두를 이유가 없는.... 즐기는 마음으로 합니다.
▣ 들깨재배에 관한 기본 메모 ▣
◆ 밑거름 및 추비 주는 방법 ◆
밑거름으로 기본 양만 주어도 들깨는 잘 살아가는 식물 입니다.
추비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지만 결실기에 추비 한번정도 해 주면 좋겠습니다.
◆ 세균과 해충방제 하는 방법 ◆
들깨는 병충해에 강하여 방제는 많이 하지 않습니다.
구지 한다면 노린제와 무당벌레가 많아 예방하면 좋겠습니다.
※ 들깨재배는 밑거름도 추비도 뱅충해방제도 자유롭다고 생각 합니다.
'약초텃밭이야기 > 2023년약초텃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텃밭/230704) 들깨묘종 이틀째 작업 (0) | 2023.07.05 |
---|---|
(텃밭/230704) 토마토가 대박! (0) | 2023.07.04 |
(텃밭/230629) 찰옥수수가 달리기 시작 (0) | 2023.06.30 |
(텃밭/230627) 육묘11일 팥묘종 텃밭에 심기 (2) | 2023.06.29 |
(텃밭/230626) 메주콩 해충피해 발생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