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가 있는 텃밭 이야기
섬부지깽이 번식 두 가지 성공! |
반갑습니다.
약초꾼 참살이 입니다.
텃밭에 심는 모종
모종을 포토에서 키우는 재미가
생각 이상으로 재미있어서 요즘 틈만 나면 모종작업~~!
앞전에 메주콩모종 키워서 텃밭에 내 보내고
이번에는 들깨모종 하고자 포토에 씨앗 파종하니
이렇게 예쁘게 발아율이 얼핏 100%로 보일만큼 잘 나오네요.
생각난 김에
그동안 여러 해 실패한 섬부지깽이인 울릉도 부지깽이도
씨앗을 포토에 파종해서 모종을 키워 보기로 도~~~전 했습니다.
1) 먼저 씨앗을 구해서 미지근한 물에 이틀 불리고
2) 잠에서 깨어나도록 저온냉장고에 일주일 넣어두고
3) 다시 씨앗을 건조해서 포토에 파종
(저는 시간이 없어서 젖은 씨앗을 그대로 포토에 파종)
4) 포토에 씨앗 크기만큼 묻고 물을 충분히 주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10일 정도 지나면 새싹이 올라온다 하네요.
그런데........................??????
3일 만에 부지깽이 새싹이 여기저기서 올라오네요.
그동안 여러 해 실패한 경험이 있어서 인가
나도 모르게 기쁨의 함성이 나오네요.
같이 파종한
들깨도 엄청나게 올라옵니다.
부지깽이는 들깨에 비해 성장 속도가 느려서
자라는 모습이 실감 안 나지만 발아율이 매우 좋습니다.
마지막 텃밭에 나갈 때까지 긴장 놓지 않고 잘 관리를 해 주어
본밭에 안정적으로 심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지난달에 부지깽이 줄기번식 한것도
이렇게 100% 살아남아 새로운 식구를 이루네요.
그동안 여러 방법 번식을 하고자 노력한 것이
실패 속에 배웠다는 것이 요즘 느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씨앗 모종과 줄기 번식 방법을 제대로 알아 갑니다.
올 가을에는
부지깽이 씨앗 받아서
좀 더 많은 부지깽이를 심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왕 하는 것
더덕도 모종 도전해 보고
백하수오도 모종 도전해 보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TIP 부지깽이 줄기번식 ~~~~~~~~~~~~ 1) 싱싱하고 건강한 부지깽이 줄기를 준비 합니다. 2) 뿌리가 없는 관계로 광합성을 최소화 하게 한다. 3) 광합성 최소화 하는 방법은 잎을 한장만 남기고 나머지 제거 4) 물에 담가서 충분이 물을 머물게 합니다. 5) 발근제를 사용해도 좋지만 그냥 해도 잘 살아 남니다. 6) 줄기를 묻고 물을 충분이 준다. 7) 뿌리가 형성될때까지 반음달에서 키운다. |
모종 모습 보기 |
들깨 모종 만들기
처음에는 토종 들깨를 할렬고 하다가
기름용으로는 적합하지 많다고 하여 다시 기름용들깨씨 구해서
이렇게 6월 12일 파종했습니다.
파종 후 7일이 지나서 들깨가 이만큼 자랐습니다.
단 3일 만에 새싹이 여기저기서 보이더니
이제는 전 포토에 다 올라와서 2개만 남기고 쏙아 주었습니다.
6월 12일
(7일 전 파종한 모습)
7일이 지난 들깨 모종
발아율이 70%라는 이야기에
포토 구멍당 여러 개의 씨앗을 넣었더니
발아율이 너무 좋아서 새싹이 전쟁 중입니다.
쏙아 주는 것도 일 이네요.
7일 만에 이 만큼 자랐습니다.
잘하면 앞으로 13일만 더 키우면 본 밭에 심을 수 있겠습니다.
울릉도 부지깽이
울릉도 부지깽이도 3일 만에 싹이 나오더니
7일 만에 대부분 발아되어 싹이 올라왔습니다.
그동안 고생한 것 생각하니 가슴이 벅차네요.
이제 부지깽이 씨앗 가지고도 모종을 키울 수 있겠습니다.
알고 모름은 종이 한 장 차이라더니 이제 조금 모종 키우는 것에 감을 잡아갑니다.
섬부지깽이 줄기번식도 성공
그동안 몇 번이고 실패를 해서
성공한다 해도 반반 정도 살아남아 마음이 아파는데
드디어 이렇게 부지깽이 줄기번식도 번식에 성공 했습니다.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초보로서 이 정도면 만족 합니다.
이제 틈만 나면 줄기번식도 수시로 해 보겠습니다.
30일이 지나고 나니
줄기에서 새로운 줄기가 나오고 잎이 나오네요.
부추(정구지)
지난번 비가 온 뒤로
부추가 부쩍 자라서 이렇게 있습니다.
퇴비로 키워서 그런지 부추 내음이 진하게 퍼지네요.
당분간 부추전과 부추요리를 맘껏 먹겠습니다.
삼채
마늘맛과 향이 나서
한국사람이라면 좋아하는 삼채
내가 알기로는 외래종인줄 아는데
마늘맛과 향이 익숙한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채소 입니다.
저도 이 맛과 향이 좋아서 3 뿌리로 시작해서 이만큼 번식 시키었습니다.
다음에는
더덕 모종 만들기와
백하수오 모종 만들기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많은 응원 부탁 합니다.
감사 합니다.
'약초텃밭이야기 > 2022약초텃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텃밭) 더덕과 백하수오 씨앗 모종 만들기 (0) | 2022.06.22 |
---|---|
(텃밭) 고추와 참외가 주렁주렁~~~! (0) | 2022.06.21 |
(텃밭) 들깨모종 키우기 (0) | 2022.06.13 |
(텃밭) 비닐멀칭 종류와 모종정식시 주의할점 (0) | 2022.06.10 |
(텃밭) 메주콩 모종 텃밭에 아주심기 (0)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