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산야초건강원이야기/약초건강이야기

(약초연구) 인진쑥을 제되로 알자!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20. 8. 14.

 

약초 공부의 끝이란 없다....

인진쑥에 대해 공부를 해 보았습니다.

 

오랜만에

포항에 계시는

약초연구가 이자 약초 강의하시는

산그린님을 만나러 갔다가 재미있는 숙제 하나 들고 왔습니다.

 

몇 년 만에 만나서

그동안 밀린 이야기를 

이런저런 이야기 하다가

간과 담에 좋은 약초로 "인진쑥" 이야기가 나왔고

약초연구가 이신 산그린님이 실물로 확인하자 하여서

내보다 더 많이 공부하고 알고 계신 분이 왜 이러냐 사양하다

손에 끌리어 밖에서 키우고 있는 인진쑥을 보여 주는데.....??????

 

내가 알고 있는 인진쑥이 아닌

바닷가나 강가에 자라는 쑥 같은 약초를 보여 주는데

한눈에 봐도 내가 알고 채취하는 인진쑥이 아니라 하니

바로 약초 책과 인터넷 한약 교수가 강의하는 자료를 보여 주시네요.

 

순간적으로 대 혼란이 일어났네요.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인진쑥이 인진쑥이 아니고

다른 이름인 더위지기라 하면 인진쑥이란 이름을 붙으면 안 된다 합니다.

조금 전에 손에 이끌러 본 쑥 같은 것이 인진쑥 다른 말로 인진호라 하네요.

 

궁금하면 파고드는 성질이 있어

바로 귀경론에 의한 약성과 자료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좀 뭔가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지식의 충돌이 생기네요.

인진호는 주로 위장 계열에 사용하지 간과 담에는 아니고

잘못 알고 있는 더위지기란 약초는 간과 담에 사용하네요.

 

결국

이대로 인정 한다면

이름만 다르고 귀경론에 의한 약성은

제대로 약 처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맞네요.

대한민국 어디를 가나 인진쑥이라면 간과 담에 사용하니....

 

집에 돌아와서

내 약초방에 있는 약초도감과 민간요법과 약초 처방책을 

모조리 내려놓고 몇 시간째 분석작업 들어가 보니...

집필자마다 다 다르네요....

같은 한의학 박사나 한의대교수분들도...다르게 보네요.

아 혼란을 일개 시민인 내가 가타부타 정하기 어렵네요.

 

다만

내가 인지하였기에

전 이렇게 정리해 두어야 하겠습니다.

 

인진쑥은 사철쑥으로 인진 호라 불리고

더위지기는 한인진 라 불리면 보통 인진쑥으로 불린다.

즉 주로 사용하는 약초는 더위지기인 한인진으로

인진쑥이라 하면 널리 이용하는 더위지기를 알고 있겠습니다.

 

참고로

인진호는 쓴맛이 거의 없는 성질이지만

더위지기인 한인진은 매우 쑨맛이 강 합니다.

그냥 이렇게 두 개의 약초가 있다는 것만 알고 가면 좋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약초의 성질로 귀경론에 참고하여 활용하면 좋겠네요.

 

인진쑥에 대한 구별
▶사철쑥 = 인진호 = 인진쑥(한방서 사용하는 용어)
▶더위지기 = 한인진 =인진쑥 (민간요법은 인진쑥으로 알고 이용함)

 

약초 공부

저는 매일매일 공부합니다.

상식이다 하여 의문의 없는 것도

한 번쯤 의심을 가지고 진실 유무를 알고자 합니다.

그러다 보니 약초방 서재에는 다양한 약초 책이 즐비하고

책이나 도구를 구입하는 비용도 제법 많이 들어갔습니다.

 

약초 공부는

돌아서면 기억이 가물가물 하여

늘 옆에 두고 보고 또 보고 익혀 갑니다.

요즘은 새로운 자료도 늘 올라오니 이것 또한 수시로 들여다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