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 약초 이야기/과실(열매)약초

(모과) 건강관리에 좋은 "모과" 이용 방법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7. 5. 20.

 

 

 

모과 이용 방법

 

모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두드러기

모과 22.2g을 물로 달여서 2번 나누어 매일 1()씩 복용한다. [모과환]

 

2, 오래된 기괴(氣塊)로 아랫배가 아픈 증상

모과 37g(3), 노사(瑙砂 즉 요사(硇砂: 할로겐화물류의 광물): 식초 한잔으로 녹여 잡물을 제거한 것), 모과를 쪼개어 속과 씨를 빼내고 거기에 노사(硇砂: 노사는 곪은 것 터뜨리고 독삭이고 새살을 잘 자라게도 하면서 예막을 없애며 금과 은을 무르게 한다: 방약합편)와 식초를 넣는다. 이것을 사기 대접에 담아서 햇볕에 말린다. 모과가 흐물흐물해지면 꺼내어 짓찧는다. 미초(米醋) 5되로 상술한 약을 묽게 달여서 도자기 술병에 부어 넣고 밀봉한다. 필요할 때 부자(附子)가루를 넣어 탄알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 복용시 뜨거운 술에 1환을 녹여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모과환]

 

3, 배꼽 밑이 꼬이듯이 아픈 증세

모과 1~2, 뽕나무잎 7, 대추 부순 것 3개를 물 2되에 넣고 반 되가 되게 달여서 한 번에 먹는다. [맹선방]

 

4, 적백리

모과, 차전자(車前子: 질경이씨), 앵속각(罌粟殼) 각 같은 양을 곱게 가루내어 17.4g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보제방, 모과산]

 

5, 각기(脚氣)가 충심(衝心)하여 흉격(胸膈)이 비체(痞滯)하고 번민(煩悶)하는 경우

대복피(大腹皮) 1, 자소(紫蘇) 0.37g, 말린 모과 0.37g, 볶은 감초 0,37g, 목향(木香) 0.37g, 강활(羌活) 0,37g을 잘 게 썰고 차게 마시기에 적합한 탕약을 만들어 3번 나누어 복용한다. 매회 물 1되에 넣고 3할쯤 되게 달여서 복용한다. [전가비보방, 모과산]

 

6, 각기통(脚氣痛: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복용할 수 있다.) 만약 풍습유주(風濕流注)로 발이 심하게 아프고 뼈마디에 연결된 근육이 부어오르는 사람은 이것을 복용하면 좋다.

빈랑(檳榔) 7, 진피(陳皮: 흰부분을 제거한 것), 모과 각 37g, 오수유(吳茱萸), 자소엽(紫蘇葉) 11.1g, 길경(桔梗: 노두를 없앤 것), 생강(껍질이 붙어 있는 것) 18.5g을 잘 게 썰어 한번만 달인다. 3사발(큰 것)을 붓고 한 사발 반이 될 때까지 약한 불에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그 찌꺼기에 물 2사발을 넣고 달여서 한 사발(작은 것)을 얻는다. 이 두약즙을 한데 섞어 침대의 머리맡에 놓아 둔다. 이튿날 오전 3~5시 사이에 3~5번 나누어 차게해서 복용한다. 그러나 겨울에는 조금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증치준승, 계명산]

 

7, 습각기(濕脚氣)가 심흉(心胸)으로 치고 올라가 옹민담역(壅悶痰逆)한 증세

모과 말린 것 37g, 진귤피(陳橘皮: 끓는 물에 불구어 흰 속을 제거하고 약한 불에 말린 것) 35g, 인삼 37g(노두를 떼어낸 것), 계심(桂心) 18.5g, 정향(丁香) 18.5g, 빈랑(檳榔) 74g을 짓찧고 체로 쳐서 가루내어 정제한 벌꿀과 함께 200~300번 찧어서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아무 때나 생강탕으로 30환씩 먹는다. [태평성혜방, 모과환]

 

8, 건각기(乾脚氣)로 통증이 심한 증상

말린 모과 1, 명반(明礬) 37g을 달여서 뜨거울 때 훈세(燻洗)한다. [기효양방]

 

9, 일체의 각기(脚氣)로 다리와 무릎이 아픈 증세

화모과(花木瓜) 1(하단을 베어 덮개로 하고 꼭지를 없앤다), 부자(附子: 불에 태워서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1, 부자 가루를 모과 안에 넣고 다시 숙애(熟艾)를 채워 넣고 덮개를 덮어 대꼬챙이로 고정하고 다시 삼끈으로 동여맨다. 적당량의 미초(米醋: 입쌀, 좁쌀 등으로 만든 식초)로 자기(瓷器)안에서 풀어질 때까지 삶고 석기(石器)안에서 흐물흐물하게 될 때까지 짓찧어 고()로 만든다. ()를 만든 다음 2~3개의 사발에 넣고 숟가락으로 사발 안쪽에 적당한 두께로 펴 놓는다. 배롱(焙籠)에 사발을 연달아 엎어놓고 약한 불에 말린다. 때때로 손을 대여 손에 묻지 않으면 숟가락으로 떠서 처음과 같이 얇게 펴 놓는다. 표면을 눋게 하면 안되고 덩어리로 되지 않게 주의하면서 이와 같이 여러번 한다. 건습(乾濕) 정도가 적당하면 환제로 만든다. 빈속에 알맞게 데운 술로 30~50환을 먹는다. [위씨가장방, 모과환]

 

10, 근육이 켕기고 목이 뻣뻣해져 몸을 뒤척이지 못하는 증상

선주모과(宣州木瓜) 2(덮개는 취하고 꼭지는 버린다), 몰약(沒藥) 74g(갈아서 가루낸 것), 유향(乳香) 37g(갈아서 가루낸 것).

 

먼저 몰약과 유향을 모과 안에 넣고 덮개를 덮어 대꼬챙이로 고정한다. 밥 지을 때 그 위에 놓고 3~4회 흐물흐물하게 될 때까지 찐 다음 갈아서 찐득찐득한 상태의 내복약인 고자(膏子)를 만든다. 13~5숟가락을 지황주(地黃酒)에 녹여 먹는다. 생지황즙 반잔과 무회상온(無灰上醞) 2잔을 함께 섞는다. 1/8잔을 따뜻하게 데워서 고()를 녹인다). [본사방, 모과전]

 

11, 다리와 무릎의 근육이 땅기듯이 아픈 증상

모과를 흐물흐물하게 삶은 다음 걸쭉한 죽처럼 갈아서 아픈 곳에 싸맨다. 식으면 바꾸고 하룻밤에 3~5번 뜨거운 것을 싸매면 낫는다. 모과를 삶을 때 술 한잔 반을 넣어 삶는다. [식료본초]

 

12, 요통을 치료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보익하는 처방

우슬(牛膝: 알맞게 데운 술에 담갔다가 얇게 잘라 약한 불에 구운 것) 74g, 모과(끝부분과 꼭지를 제거하고 애엽(艾葉) 37g을 넣어 찐 것) 1, 파극(巴戟: 심을 제거한 것), 회향(茴香: 볶은 것), 목향(木香) 37g, 계심(桂心: 껍질을 벗긴 것) 18.5g을 보드랍게 가루낸다. 모과와 애엽(艾葉)을 함께 절굿공이로 수천 번 찧는다. 딴딴해지면 꿀을 넣고 잘 섞어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20환을 빈속에 염탕(鹽湯)으로 복용한다. [어약원방, 모과환]

 

13, 풍습객박(風濕客搏)으로 수족과 허리와 무릎을 움직일 수 없는 증상

모과 1, 청염(靑鹽) 18.5g, 먼저 모과를 껍질과 꼭지를 제거학 구멍을 내어 열매 꼭지를 제거한 오수유(吳茱萸) 37g을 밀어 넣고 실로 잘 묶어 찐 다음 곱게 갈아서 청염(靑鹽) 18.5g을 넣고 다시 잘 갈아서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40환을 차나 술로 식전에 복용한다. 우슬(牛膝)을 담근 술로 복용하면 더욱 좋다. [양씨가장방, 모과환]

 

14, 설사가 멎지 않을 때

미두자(米豆子) 74g, 모과, 건강(乾薑), 감초 각 37g을 곱게 가루내어 17.4g을 미음으로 아무 때나 복용한다. [계봉보제방, 모과탕]

 

15, 구토를 멎게 하는 처방

모과(분말), 사향(麝香), 이분(膩粉), 목향(木香: 분말), 빈랑(檳榔: 분말) 0.925g을 함께 갈아서 작은 기장쌀 만한 크기의 호환(糊丸)을 만든다. 11~2환을 감초물로 아무때나 복용한다. [소아약증직결, 모과환]

 

16, 토사전근(吐瀉轉筋)

모과 한 개(큰 것은 4쪽으로 쪼갠다), 진창미(陳倉米) 1홉을 물 2(큰 잔)으로 한 잔 반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아무 때나 1홉을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모과즙 1, 목향(木香)가루 약 3.7g을 뜨거운 술에 타서 아무 때나 복용한다. [성제총록]

 

말린 모과 37g, 오수유(吳茱萸) 18.5g(끓는 물에 7번 담근 것), 회향(茴香) 0.37g, 볶은 감초 3.7g을 잘 게 썰어 가루낸다. 1회 복용시 약 15g에 물 한 잔 반, 생강 3, 자소엽(紫蘇葉) 10개를 넣고 7할로 졸아들 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전에 복용한다. [삼인방, 모과탕]

 

17, 배꼽이 있는 아랫 배가 아플 때

모과를 3~4개 조각 썰어(생철 칼로 썰면 안된다) 뽕나무잎 7, 큰 대추 3개와 같이 삶아 1차례 복용하여 낫지 않으면 다시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18, 수족 근골(手足筋骨)이 삐어 붓고 아플 때

모과를 썰어 술과 물 반 반씩을 타서 삶은 뒤 잘 찧어 환부에 바르면 된다. 식으면 뜨거운 것으로 바꾸고 13회 바르면 효력이 매우 좋다. 허리가 삔 데는 이 처방이 더욱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19, 크게 토하고 설사를 심하게 할 때나 다리에 쥐가 났을 때

모과 37.5g을 술과 같이 삶아 그 물을 자주 마시면 된다. 술을 못마시는 사람은 물로만 삶아 마셔도 된다. 나머지 찌꺼기는 헝겊으로 싸서 반복하여 발에 싸매면 된다. [식품비방]

 

20, 모과 보신환(木瓜補神丸)

이 환약은 찬 바람을 쐬거나 습기로 인하여 일어난 신경통, 사지 마비, 등창, 구토, 식은 땀 따위 증세(症勢)에 복용하고 위의 병증을 예방하게 한다.

 

연로한 사람에게는 반드시 비치해 둬야 할 약이 아닐 수 없다.

제조 방법은 즉 모과 4개를 잘 씻어 꼭지 있는 쪽으로 2cm를 썰어 남겨 두고

 

첫째 모과 속에는 황기(黃芪)를 가루로 빻아 약 19g을 넣는다.

 

둘째 모과에는 창출(蒼朮)과 귤 껍질(陳皮)을 가루로 빻아서 약 19g을 넣는다.

 

셋째 모과에는 오약(烏藥), 복신(茯神)을 가루로 빻아 약 19g을 넣는다.

 

넷째 모과에는 위령선(葳靈仙)과 두루미냉이(葶藶)를 가루로 빻아 넣는다.

 

모과 마다 앞서 베어낸 모과로 덮고 참대 꼬치로 잘 꽂아 꼭 닫은 다음 4개의 모과를 사기 그릇에 담고 그릇에는 두께 반촌(半寸) 가량 되도록 배갈을 붓고 찜통에 넣어 12시간 동안 찐다. 그 다음 이것을 햇볕에 말려 가루를 만들고 술이 남아 있는 그릇에는 볶은 밀가루(밀가루를 노랗게 볶아 익힌 것)를 넣어 갠 다음 녹두알 크기만한 환약을 빚는다. 이것을 식전에 따뜻한 물로 50알씩 식후 1시간 후에 따뜻한 물 또는 약간의 술을 타서 50알씩 장기간 복용하면 오랫동안 통환이 없어진다. [식품비방]

 

21, 각기 수종(脚氣水腫), 동양(疼痒) 또는 마비

모과의 가지나 잎 또는 근피(根皮)를 삶아 이 물에 발을 담가 씻으면 좋다. 잎이나 꽃을 삶은 물로 세수하면 손이나 얼굴이 하얗게 된다. [식품비방]

 

22, 구토, 설사, 이질, 복통

모과의 가지, 잎 등 한 가지만 삶아 자주 마시면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23, 설사 이질, 복통에

모과를 으깨서 즙 반 티이컵을 끓인 물로 매일 3차례 식간 마다 복용하면 된다. 마른 모과면 물에 불렸다가 즙을 짠다. [식품비방]

 

24, 모과차(木瓜茶)

차인 동시에 약이다. 향기가 좋고 입에 맞는다. 상풍감기(傷風感氣)에 좋고 사지동통(四肢疼痛)에 효력이 있다.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잘 익은 모과 여러 개를 껍질 그대로 소금 물에 씻어 녹이 쓸지 않은 칼로 씨를 빼고 갈아서 즙을 짠다. 찌꺼기는 약간의 물을 두어 다시 즙을 짜고 또 짜기를 4~5회 되풀이 한 다음 그 찌거기의 신맛의 향기가 안날 때 짜는 것을 그만둔다. 이렇게 해서 짠즙을 모아 꿀, 설탕 등을 많이 넣고 묽은 죽처럼 젓는다. 그 다음 병 사기단지등에 담가 밀봉해 두고 필요할 때 끓인 물로 한 숟가락씩 먹는다. 이것은 차도 되고 치병 보신도 되며 복통, 설사, 이질에는 생강즙을 한 숟가락을 넣고 함께 복용하면 곧 효력을 본다. 모과즙은 데워서는 안 되며 삶거나 달여서도 안된다. 데우면 향미(香味)를 날려 버리기 때문에 완전히 밀봉해야 한다. [식품비방]

 

25, 기천(氣喘)

모가 잎 다소를 막론하고 잘 삶아 그 물을 자주 마시면 풀어진다. [식품비방]

 

26, 뱃속의 모든 벌레를 제거하는 데

모가 씨를 한 번에 10개 정도 으깨서 끓인 물로 복용하면 된다. 매일 3차례 식전마다 1회씩 복용하되 우유나 설탕 또는 꿀을 약간 첨가하면 더욱 좋다. [식품비방]

 

27, 모든 창()

모과 잎을 찧어 바르면 좋다. [식품비방]

 

28, 증유제(增乳劑: 젖을 많이 나오게 하는 처방)

모과 1개를 편으로 썰어 술 3홉에 달여 즙을 내서 자주 복용하면 된다. 우유를 약간 넣어도 무방하다. 이 처방은 각종 신경통(神經痛)과 각기병(脚氣病)도 치료할 수 있다. [식품비방]

 

29, 풍습마미(風濕痲痺), 각기습비(脚氣濕痺), 요퇴침통(腰腿沈痛), 사지 관절 풍습

모과 말린 것 3kg(날 것은 10) 잘 게 썰어 술 6kg1개월간 담갔다가 이것을 매일 3차례 식전 또는 식후마다 따끈하게 1~2술잔씩 복용하면 좋다. [식품비방]

 

30, 모과차(木瓜茶)

모과는 강장과 양기를 돕고, 풍증과 습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도우며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하고 아울러 일체의 신경통을 치료하는 일종의 특수한 방향(芳香)이 있는 피로회복차이다.

 

여기에 구기차, 두충차, 육종용차 등을 곁들이면 더욱 좋아진다. 만드는 방법은 모과를 작고 얇게 썬 것 1.2kg을 갈아서 즙을 낸다. 그리고 찌꺼기는 물 4홉으로 다시 갈아 즙을 짜고, 이것을 모두 합쳐 꿀 한병과 섞어 항아리에 담아둔다. 사용할 때에는 큰 숟가락으로 하나를 끓인 물 한 사발에 풀어 마시면 된다. 이 차는 방향(芳香)이 대단하여 2~3잔 풀면 방안의 향기가 가득찬다. 보관할 때에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해야 한다. 만약 오미자차나 레몬즙 및 기타 과즙을 곁들이면 그 맛은 더욱 좋아진다. 이 차도 역시 미용차라고 할 수 있다. [식품비방]

 

31, 모과주(木瓜酒) 담그는 법

누런 모과를 짚섬에 따 담아 두고, 이것을 엷게 썰어 항아리에 차곡 차곡 넣어 여기에 꿀이나 설탕을 약간 넣고 거기에 맑은 술을 채워서 꼭 봉하여 약 한 달을 두면 정말 좋은 약주인 모과주(木瓜酒)가 된다. 이것을 반주로 하여 짬짬이 마시면 무더운 여름 때문에 잃었던 입맛을 되찾게도 되며, 가을로 접어들어 기온 변화 때문에 어김없이 찾아드는 신경통 증세와 천식기를 진정시켜 주는 좋은 약도 되는 것이다. 이 약주는 옛부터 시골에 은둔한 선비의 유일무이한 낙이었으며 좋은 약도 되었던 것이다. 알뜰한 우리 주부는 손 쉽게 구할 수 있는 이 모과로 이런 술을 담아 두고 아빠의 반주로 밥상에 올린다면 정말 정겹고 짜임새 있는 생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일 것이다. 옛날에 <여성의 미용법으로 이 모과나무의 꽃을 찧어서 얼굴에 발랐다고 한다. 그러한 즉 얼굴 피부가 희어지고 주근깨 같은 것이 없어졌다.>는 기록도 있다. [익수본초]

 

32, 모과(木瓜) 정과 만드는 법

모과 정과는 모과를 우선 꿀 1.8kg 혹은 2.4kg~3kg을 사기나 돌 또는 은그룻에 넣고 뭉근한 불로 졸여 걸러둔다. 다음에 모과 껍질을 벗기고 씨를 도려내어 말쑥한 살만 600g을 사방 1치쯤 되게 얇게 저며 꿀에 넣어 졸이되, 거품이 일어나거든 바로바로 걷어내어 두어 시간 졸인다. 맛을 보아 신 맛이 나거든 꿀을 넣되 알맞게 새콤달콤하도록 한다. 수저로 떠서 찬 그릇에 내어, 식거든 다시 떠내어 그 꿀이 실같이 끊어지지 않을 정도로 되게 졸인다. 이때 만약 불이 화력이 좋아 괄면 눋고 맛 또한 좋지 않으니, 뭉근한 즉 은근한 불이라야만 좋다. [산림경제, 거가필용]

 

33, 모과장(木瓜漿) 만드는 법

모과장(木瓜漿)은 모과 한 개를 밑을 도려 씨를 발라내고 그 속에 꿀을 넣고 다시 뚜껑을 덮은 다음 대나무 바늘로 고정시켜 시루에 넣어 연하게 쪄 꿀을 빼되 그 껍질을 깍아 버릴 필요가 없다. 따로 익힌 꿀 반 잔과 생강즙 조금을 섞어 노그라지게 갈아 큰 사발로 끓인 물 세 사발을 고루 저어 밭여서 찌꺼기를 없애고 병 안에 담아 우물 속에 저장한다. [산림경제, 거가필용, 신은지]

 

34, 개벼룩(구조:狗蚤), 빈대(벽슬:壁虱)를 물리치는 방법

좋은 모과(木瓜)를 썰어 조각을 내어 내침상(內寢床) 밑에 깔아 둔다. [산림경제, 신은지]

 

35, 태어난 아이가 구토를 일으키며 젖을 먹지 못할 때

태어난 아이가 구토를 일으키며 젖을 먹지 못하는 것은 더러운 물질이 입으로 들어가서 그런 것이다. 모과(木瓜), 생강(生薑) 전탕을 입안에 먹여주어도 좋다. [동의보감]

 

출처 : 동의보감에서 참고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