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약초·건강정보·소개/칡즙·칡엑기스

★★(네이버 자료) 칡에대한 좋은 정보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1. 12. 23.

 

 

 

 

 

답변
네이버에 에 대한좋은

내용이 있어 옮겨 봅니다. 

 

갈근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저는 한의학지식정보위원회 위원 한의사입니다.

갈근은 한마디로 혈관의 기름때를 제거하는 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혈관의 길이는 무려 지구 두바퀴 반 정도나 됩니다. 이것을 싹싹 닦아주는 약이 갈근입니다. 인체 전신의 혈관을 청소하여 혈관의 용적을 넓혀 각종 장기의 병에 모두 영향을 끼칩니다.

의학사전에 고지혈증을 읽어보시면 갈근이 우리 몸 안에서 어떠한 일을 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응용범위가 넓은지 아시게 될겁니다. 갈근이 무슨 목덜미 아픈데만 쓰는 것이 아니라 혈관을 청소하여 심장을 거쳐 뇌로 올라가는 혈관을 열어 주기에 목덜미가 풀리는 것이라고도 합니다.

 

참고 되길 바랍니다.

 

 

1. 식물종의 설명
분 포 지 : 일본, 중국, 대반에 분포. 우리나라는 전국 산기슭 숲 가장자리의 양지에서 자라는 낙엽성의 활엽덩굴식물
식물크기 : 10cm이상
잎의형태 : 소엽은 길이 15~20cm. 끝이 굵고 얕게 갈라지기도 한다. 3개 소엽으로 이루어진 복엽
엽 서 : 호생. 3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
줄기특징 : 길이 10cm 이상으로 뻗으며 왼쪽으로 감기고 전체에 광택이 있는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목본같이 보이나 지상부는 겨울에 말라죽으므로 엄밀하게는 대형의 다년초이다.
꽃의형태 : 길이 18~20mm. 자홍색. 다수가 잎겨드랑이에 길이 11~17cm,
꽃 차 례 : 총상화서
개 화 기 : 7~8월
열 매 : 꼬투리는 길이 5~10cm. 광택이 있는 털이 밀생한다.
생 활 형 : 대형지상식물
기 타 : 식용,약용,사료용,섬유용

2. 본초학적해설

【성미】성질은 평(혹은 서늘하다)하고, 맛은 달고 맵다.
【귀경】비, 위, 폐경.
【해설】본품은 주로 비위(脾胃)로 들어가서 효능을 발휘하는 양명경의 중요한 약이 된다. 맛이 맵고 달며, 약성이 평한데, 신산(辛散)하는 성질이 있고 기(氣)가 경양(輕揚)하여 밖으로는 풍열(風熱)을 발산(發散)하고 해열(解熱)하며, 해기(解肌)하고 마진(麻疹)을 투발(透發)하는 효능이 있으며, 비록 발한력이 강하지는 않지만 외감(外感)의 풍한(風寒) 혹은 풍열(風熱), 유한(有汗) 혹은 무한(無汗), 갈증(渴症) 혹은 불갈(不渴)이든 관계없이 오직 사기(邪氣)가 기표(肌表)에 있어서 신열(身熱)이 불퇴(不退)하는 경우에 모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구갈(發熱口渴), 항배강(項背强), 무한오풍(無汗惡風)하는 외감표증(外感表證)과 선열후한(先熱後寒), 왕래부지(往來不止)하는 온학(溫瘧)을 치료할 수 있다. 안으로는 양명경의 열을 청(淸)하는데, 그 해열하는 작용이 아주 뚜렷하다.
본품은 또한 비위(脾胃)의 청양(淸陽)한 기(氣)를 상행(上行)시키는 작용을 하여 생진지갈(生津止渴)하는 효능이 있다.
이 외에 갈근(葛根)은 주독(酒毒)을 풀어주며, 또한 승산투발(升散透發)하여 비위(脾胃)의 청양(淸陽)한 기(氣)를 상행(上行)시키는 효능이 있어서 비위가 허약하여 발생하는 설사와 표증(表證)이 있는 이질을 치료하며, 마진초기(麻疹初起)에 쉽게 투발(透發)되지 않는 증상도 치료한다.
이 외에도 현대에는 고혈압병으로 인한 경항강통(頸項强痛)과 관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협심증에도 상용(常用)되고 있다.
【수치】잡질을 없애고 세정(洗淨)하여 사용한다. 갈근(葛根)을 생용(生用)하면 해표(解表), 투진(透疹), 생진(生津)하고, 외용(煨用)하면 지사(止瀉)하게 한다.
【용량과 용법】6~12g
【금기증】위한(胃寒)으로 구토하는 자와 표허한다(表虛汗多) 자는 복용을 금한다.--->속이 찬 사람은 좋지 않습니다..

출처
관련논문 : Induction of growth hormone release by Pueraria thunbergiana BENTH. Horm Metab Res. 2004 Feb;
 
 

 

칡 한방 효과에 대해 질문하셨네요.

저 나름 칡뿌리생즙을 즐겨 먹는 사람이라 이래저래 건강문헌과 논문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조사한 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건강 문헌 
①민속약초연구회

칡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덩굴나무이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 양지 쪽이나 골짜기 같은데 흔히 자란다.
줄기는 길이 6~10미터쯤 자라고 잎은 큼지막한 달걀 꼴이며
8월에 좋은 향기가 나는 보라색 꽃이 피어 가을철에 꼬투리 열매가 익는다.
뿌리는 굵고 살이 쪘으며 녹말이 많이 들어 있다.
녹말을 뽑아내어 국수나 떡을 만들어 먹고 줄기에서 섬유질을 뽑아내어 청올치라 하여 갈포(葛布)의 원료로도 쓴다.
어린순으로 나물을 해 먹기도 하고 쌀과 섞어 칡밥을 지어서도 먹는다.
뿌리에서 즙을 짜서도 먹고 잎을 말려 차로 만들기도 하며 어린순을 꺾어 말려서 ‘갈용’이라 하여 몸의 원기를 돋우는 약으로 쓰기도 한다.
갈용에는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서 사람의 양기를 세게 하는 데에도 큰 효험이 있다고 한다.
어린순을 항아리에 흑설탕과 버무려 넣고 1년 동안 숙성시키면 맛있는 음료가 된다.
이 음료는 변비, 고혈압, 당뇨병 등에 효과가 뛰어나고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에 큰 효과가 높다고 한다.
칡뿌리는 감기, 머리 아픈 데, 땀이 잘 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데, 당뇨병, 설사, 이질 등에 약으로 쓴다. 칡꽃은 열을 내리고 가래를 잘 나오게 하며 술독을 푸는 데 쓴다. 또 대장염이나 악성 종양에 쓰기도 한다.

 

②동의보감에는 칡뿌리의 약성에 대해 이렇게 적혀 있다.

“성질은 평하고 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없다. 풍한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며 땀이 나게 하여 표(表)를 풀어 주고 땀구멍을 열어 주며 술독을 푼다. 번갈을 멈추며 입맛을 좋게 하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가슴에 열을 없애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족양명경에 들어가는 약이다 족양명경에 들어가서 진액이 생기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허해서 나는 갈증은 칡뿌리가 아니면 멈출 수 없다. 술로 인해서 생긴 병이나 갈증에 쓰면 아주 좋다. 또 온학(溫木西)과 소갈(逍曷)을 치료한다.”

 

③칡뿌리의 약리작용에 대해 <약초의 성분과 이용>이라는 책에는 이렇게 적혔다.

“온열중추를 자극한 집토끼에게 뿌리 가루를 15g/kg 먹이면 뚜렷한 열내림작용이 있으면서도 다른 특별한 변화는 없다. 뿌리를 우린 액, 달인 약, 알코올 추출액도 이러한 작용이 있으나 물 추출액에서 세다. 열내림 작용은 합성 열내림 약보다 늦게 나타나지만 오래 지속된다. 또한 같은 작용량의 16배를 써도 열내림 작용에서 큰 변화가 없으며 심장, 혈압, 호흡에는 부작용이 없다. 정상 집토끼에서는 혈당량을 늘리고 간장 글리코겐 양을 늘리지만 근육 글리코겐 양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다. 굶긴 집토끼에서는 간에서뿐만 아니라 근육에서도 글리코겐 양이 많아진다.

뿌리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신경작용이 있다. 특히 이 작용은 다이드제인이라는 성분에서 세게 나타난다.

 

 

2. 논문 요약 
① 울산대 식품영양학과 최석영 교수 :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가장 많이 든 식품으로 칡을 꼽는다. 칡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콩의 열배나 들어 있고, 석류는 아예 비교대상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년 여성이 칡을 즐기면 폐경을 지연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② 영남대 식품공학과 조수열 교수 : 칡은 또 예부터 숙취 제거에 사용돼 왔다. 동의보감에도 "주독을 풀어주고 입안이 마르고 갈증 나는 것을 멎게 한다"고 기술돼 있다. 최근엔 칡뿌리(갈근)가 알코올 섭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흰쥐를 이용한 실험에선 칡 추출물이 음주 뒤의 숙취 유발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③ 김진성 경희의료원 한방내과 과장은 "컴퓨터 앞에서 오래 작업을 하는 직장인들은 목 근육 긴장을 개선해주는 칡뿌리를 먹는 것도 좋다" 고 말했다.(즉, VDT 증후군에 칡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3. 방송(SBS 잘먹고 잘사는법 : 칡은 만능의 약재이며 음식이다.)

① 갈근(칡뿌리)에는 열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다.

- 찬바람의 감기로 고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고 뻣뻣한 감기에 칡을 사용하면 땀이 나서 해열이 되고 감기가 낫는다.

 

② 갈근에는 마진을 발진 시켜 알레르기(아토피, 피부염)를 없앤다.

 

③ 갈근은 진액을 나게 하고 갈증을 멈추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한다.

갈근은 성질이 맑으므로 해열 효능이 있고 진액이 나게 하고 열이 나서 진액이 소모 되어 갈증을 느낄 때 갈근은 갈증을 멈추게 하고 몸에 진액이 솟게 하여 힘이 나게 한다.

그래서 당뇨환자들이 갈증을 느낄 때 갈근은 갈증을 멈추게 하고 당을 떨어뜨려주어서 당뇨에도 상당히 좋다.

입이 마르고 갈증을 느껴 소변이 적어질 때 갈근을 다려서 사용하면 갈증이 멈추고 소변이 많아지고 힘이 솟는다.

 

④ 갈근은 피를 잘 돌게 한다. 그래서 어혈을 풀고 뭉친 데를 낫게 한다.

 

⑤ 갈근은 식물성에스트로겐이 콩의 10배 석류의 625배 나온다고 해서 골다공증 갱년기 장애에 효과가 최고다.

갈근은 콩과 종류인데 콩은 씨앗으로 쓰는데 유일하게 갈근은 뿌리로 사용하니 그 효력이 10배나 강하다고 하겠다.

갈근은 암칡 수칡으로 나누어 말하는데 별 의미가 없고 맛을 먹을려면 암칡이 좋고 약으로 다려서 먹을려면 수칡도 좋다.
갱년기에 얼굴이 달아오르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두통이 나고 우울 할 때 칡을 먹으면 갱년기 증세가 호전될 것이다.

 

⑥ 칡에 풍부한 다이드제인은 안면홍조든 갱년기증상, 특히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남성, 여성 모두 칡즙을 우유, 멸치, 달걀, 연어 등과 함께 먹으면 칼슘 흡수를 도와 골다공증에 매우 좋은 식품이다.(홍화씨와 함께 먹으면 더욱 좋다.)

 

"산야초건강원 블로그"에서는

자연산약초를 채취하는 정보공유공간으로

약초엑기스류는 판매를 하지 않습니다.

 

산야초건강원

자연산약초채취전문

참살이(김용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