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에서 자료를 재정리해서 올림니다.
생강(生薑)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5장으로 들어가고 담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
또한 풍한사와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의 성질은 따뜻하나[溫] 껍질의 성질은 차다[寒].
그러므로 반드시 뜨겁게 하려면 껍질을 버려야 하고 차게 하려면 껍질째로 써야 한다[본초].
○ 끼무릇(반하), 천남성, 후박의 독을 잘 없애고 토하는 것과 반위(反胃)를 멎게 하는 데 좋은 약이다[탕액].
○ 옛날에 생강을 먹는 것을 그만두지 말라고 한 것은 늘 먹으라는 말이다.
그러나 많이 먹지 말아야 하며 밤에 먹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음력 8-9월에 생강을 많이 먹으면 봄에 가서 눈병이 생기고 오래 살지 못하게 되며 힘이 없어진다[본초].
○ 우리나라 전주에서 많이 난다[속방].
건강(乾薑, 마른생강)
성질이 몹- -[大熱]하고 맛이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 6부를 잘 통하게 하고 팔다리와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하며 풍, 한, 습비를 몰아낸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과 찬 기운으로 명치가 아픈 것,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비위를 덥게 하고 오래된 식체를 삭히며 냉담(冷痰)을 없앤다.
○ 생강으로 건강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자세한 것은 잡방문(雜方門)에 있다).
○ 물에 씻어서 싼 다음 약한 불에 구워 쓴다. 싸서 구운 것은 속을 덥히고[溫] 생것은 발산시킨다. 피를 멎게 하려면 새까맣게 되도록 볶아서[炒] 써야 한다[탕액].
○ 건강을 많이 쓰면 정기(正氣)가 줄어드는데 이렇게 된 때에는 생감초를 써서 완화시켜야 한다[단심].
○ 건강을 불에 법제하면 약 기운이 머물러 있게 된다. 그러므로 속이 찬 증이 치료된다[단심].
백강(白薑)
껍질을 벗기고 말려 띄우지 않은 것인데 빛이 희다. 폐(肺)와 위(胃)에 있는 한사(寒邪)를 없앤다[입문].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껍질째로 말린 것이다. 비위에 있는 한사와 습사를 없앤다(입문)
※ 동의보감에서 인용 재 정리 한 글임을 알려 드림니다.
'★★ 약초 이야기 > 근본(뿌리)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치) 자연산 지치 가공 (0) | 2010.10.29 |
---|---|
(잔대) 백가지의 독을 푸는-->잔데 (0) | 2010.10.24 |
(더덕) 자연산 더덕 (0) | 2010.08.25 |
(지치) ★★★ 자연산 지치 (0) | 2010.08.21 |
(단풍마) 단풍마잎즙 내리기 (0) | 2010.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