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쥔장->약초산행기/한방·민방자료실

★★ 맥문동탕(기관지염과 기관지진액부족)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8. 11. 3.




맥문동탕

맥문동탕에 대해서

여러사람이 궁금해 하여

나름 여러자료를 모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맥문동은 진액을 보충해 주는 약초로

맥문동탕은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1) 만성질환을 앓아서 인후와 기관지가 안 좋은분

2) 몸이 허약하여 기관지가 건조한 분

3) 건강한 사람이지만 한번 감기를 심하게 앓아서 기관지와 인후에

진액부족으로 건조하여 나타나는 증상의 분

 

맥문동탕을 드실분의 현상을 보면

1) 건조한 기관지로 마른기침을 심하게 하고

2) 가래를 뱉아내기가 힘들어 하시면서

3) 경련성다발기침으로(연속에서 나는 기침) 얼굴이 붉어질 정도로 기침하고

4) 낮에보다 밤에 더 심하게 기침을 하는 경우 입니다.

 

기관지염과 기관지진액부족한 분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두산백과

맥문동탕

[麥門冬湯]

요약 한의학상의 처방.

기관지염·폐렴으로 해열한 다음 발작성으로 기침을 자주 하고 안면이 붉어지며 객담이 지나치게 끈적거릴 경우에 처방한다. 곽란 후의 번갈(煩渴)에도 쓰인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는 "맥문동 7(七升), 반하(半夏) 1(一升), 인삼 3(三兩), 감초(甘草) 2(二兩), 갱미(粳米) 3(三合), 대조(大棗) 12(十二枚)를 물 12되에 넣고 6되가 되도록 달인 뒤 1되를 낮에 3, 밤에 1회로 나누어서 따뜻하게 데워 복용"하도록 처방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맥문동탕 [麥門冬湯] (두산백과)

 

한의학대사전

맥문동탕

[麥門冬湯]

맥문동(麥門冬) · 백지(白芷) · 반하(半夏) · 죽엽(竹葉) · 종유석(鐘乳石) · 상백피(桑白皮) · 자완(紫菀) · 인삼(人參) 4g, 감초(甘草) 2g, 생강(生薑) 3, 대조(大棗) 2. [동의보감(東醫寶鑑)] 폐음부족(肺陰不足)으로 몸에 열이 나고 관절이 아프며 기침을 하고 숨이 차며 코피가 나거나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맥문동(麥門冬) 8g, 자감초(炙甘草) 12g, 멥쌀[갱미(粳米)] 1. [동의보감(東醫寶鑑)] 병이 나은 뒤에 기혈(氣血)이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사열(邪熱)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는데 몸조리를 잘하지 못하여 병이 도져 마치 숨이 넘어갈 것 같은 데 쓴다. 먼저 멥쌀을 물에 끓여 익힌 다음 쌀을 건져 내고 위의 두 가지 약과 대추 2, 죽엽(竹葉) 15잎을 넣고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인삼을 넣으면 더 좋다.

 

맥문동(麥門冬) 8g, 진피(陳皮) · 반하(半夏) · 백출(白朮) · 백복령(白茯苓) 4g, 소맥(小麥) 반 홉 · 인삼(人參) · 감초(甘草) 2g, 생강(生薑) 3, 오매(烏梅) 1. [동의보감(東醫寶鑑)] 곽란을 앓고 난 뒤 번열(煩熱)이 나고 갈증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구군자탕(九君子湯)이라고도 한다.

 

맥문동(麥門冬) 12g, 반하(半夏) 8g, 인삼(人參) 4g, 감초(甘草) 2g, 멥쌀[갱미(粳米)] 1, 대조(大棗) 3. [동의보감(東醫寶鑑)] 화천(火喘)으로 가슴이 그득하고 기침을 하며 숨이 차고 간혹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오며 움직이면 숨이 더 차고 음식을 먹으면 좀 경해지는 감이 있는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하루 2번 먹는다.

 

맥문동(麥門冬) · 황련(黃連) · 동과자(冬瓜子: 마른 것. 마른 것 대신 생것을 한 번에 120g씩 쓰기도 한다) 80g. [의림촬요(醫林撮要)] 소갈(消渴)로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많이 누는 데 쓴다. 위의 약을 한 번에 20g씩 물에 달여서 먹는다.

 

인삼(人參) · 석고(石膏) 40g, 전호(前胡) · 황금(黃芩) 30g, 갈근(葛根) · 맥문동(麥門冬) 20g. [의림촬요(醫林撮要)] 임신부가 감기에 걸려 열이 나고 구역질을 하며 머리가 아프고 식욕이 부진하고 태동불안(胎動不安) 등이 있는데 쓴다. 위의 약을 한 번에 40g씩 생강 3, 대추 2, 죽여(竹茹) 6g과 함께 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백모근(白茅根) · 죽여(竹茹) 200g, 천화분(天花粉) 120g, 맥문동(麥門冬: 목질부를 뺀 것) 60g, 오매(烏梅: 씨를 뺀 것) 7, 3.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소갈(消渴)로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20g씩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아무 때나 먹는다.

 

맥문동(麥門冬: 목질부를 빼고 불에 말린 것) · 오매육(烏梅肉: 덖은 것) 8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소갈(消渴)로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며 배가 그득하고 불러오르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하루 3번 물에 달여서 식후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대황(大黃: 덖은 것) 12g, 맥문동(麥門冬: 목질부를 빼고 불에 말린 것) · 지모(知母) · 포황(蒲黃) · 황금(黃芩: 검은 속을 없앤 것) · 목통(木通) · 승마(升麻) 4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소장실열(小腸實熱)로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식후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맥문동(麥門冬: 목질부를 뺀 것) · 방풍(防風) · 백복령(白茯苓) 40g, 인삼(人參) 2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임신부가 몹시 놀란 뒤부터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며 불안하고 자주 무서운 감이 나는 등 증상이 있는데 쓴다. 위의 약을 한 번에 16g씩 생강 5, 죽엽(竹葉) 10잎과 함께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맥문동(麥門冬) · 상백피(桑白皮) · 생지황(生地黃) 2.8g, 자완(紫菀: ) · 죽여(竹如) · 길경(桔梗) · 반하(半夏) · 마황(麻黃) 2g, 오미자(五味子) · 감초(甘草) 1.2g, 생강(生薑) 3. [의림촬요(醫林撮要)] 화열(火熱)로 기침이 나고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며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부어오르며 손바닥 · 발바닥이 달아오르고 갈증이 나는 데에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천금맥문동탕(千金麥門冬湯)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맥문동탕 [麥門冬湯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도서출판 정담)

 

한의학대사전

사삼맥문동탕

[沙參麥門冬湯]

사삼(沙參) · 황정(黃精) 12g, 상엽(桑葉) · 백편두(白扁豆) · 맥문동(麥門冬) · 천화분(天花粉) · 감초(甘草) 6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와 위()의 진액이 부족하여 때때로 미열이 나며 기침이 오래 계속되거나 입이 몹시 마르는 데 쓴다. ·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으로 미열과 기침이 나고 가래가 나오는 데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삼맥문동탕 [沙參麥門冬湯]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도서출판 정담)

 

맥문동 10g, 귤껍질 흰삽주 백복령 반하 갱미 각 5g, 대조 3g, 인삼 감초 각 2g,(이 외에 추가로 황정,상엽,천화분,사삼,죽엽,오미자,인삼,백출,생강,대추,감초 가감) 600ml의 물을 넣고 반이 될 때까지 달여 100ml3회로 나눠 먹는다.

 

상기자료는 인터넷에 나온 자료를 모아 정리한 글 임을 알려 드림니다.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혈관 관리하기  (0) 2018.11.08
맥문동  (0) 2018.11.03
★★ 당뇨병  (0) 2018.08.23
★★ 은행잎  (0) 2018.08.14
★★ 칡뿌리(칡)  (0) 2018.08.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