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산야초건강원이야기/약초건강이야기

카스이야기> 땡감과 홍시감 선택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6. 11. 8.

땡감과 홍시감중 어느것이

약성이 좋은가에 대해 카스에 올린글 입니다.



땡감과 홍시감

 

반갑습니다.

약초꾼 참살이(김용철) 입니다.

 

요즘은 전문가세상입니다.

방송이든 인터넷이든

관계전문가들이 분위기를 잡고 있네요.

 

약초만 해도

신약과 한약을 전공한 분들인

약사나 한의사,전문의들이 자주 나와서

전문적으로 해석하고 방법을 알려주니

일반인들도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건강에 좋은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저같이 약초를 찾아 케는 사람들에게

장점도 단점도 같이 경험합니다.

장점은 대중매체에서 알아서 홍보해주니

관련약초가 광고되어 알아서 거래가 이루어짐니다.

반면에 단점으로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 물어면

알아도 함부로 말하면 법에 저촉되고

모른다고 하면 이도 신뢰성에 문제가 됨니다.

약품이 아닌 식품성으로 설명을 하고 있자니

분명이 약성이건만

식품이라 말해야 하는 입장도 곤란하네요.

법되로 설명하기에 제일 어럽습니다.

 

오늘은 중풍과 고혈압에 좋은 감입니다.

땡감이 좋은가 홍시감이 좋은가?

감의 탄닌성분이 많은것이, 약성이 좋다 합니다.

이 탄닌성분이 산화효소에 의해 당분화되면

약성은 떨어지지만 맛이 달달한 홍시가 된다 합니다.

즉 홍시보다는

떫은 맛이 강한 땡강이 좋다고 합니다.

 

“땡감이

산화효소에 의해 홍시감이 된다”

 

그러니 땡감으로 만든 식품이

약성이 좋다고 보면 좋겠지요.

저는 땡감으로 식초를 만들고 짱아찌도 합니다.

홍시감은 어쩔수 없는 경우에 식품으로 이용합니다.

 

멀리 청도에서 보낸준 감으로

저는 곳감도 만들고 감식초도 만들어 봅니다.

모든 열매는 익기직전 산화직전이

가장 좋은 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간 무른감을

껍질을 칼로 정리하고

건조기로 겉을 살짝기 말려 곳감을 만들어 봅니다.

 

정도땡감으로 곳감만들기

http://blog.daum.net/kim072kr/17439572


☎약초구입에 대한 전화상담 및 방문을 환영합니다.☎ 


본 제품은

의약품이 아니고 식품이기 때문에

관련내용의 효능효과 올릴수 없어니,

제품의 내용은

인터넷검색이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람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