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나무
(음나무,개두릅,엉개나무)
엄나무의 효능
거풍, 진통, 소종 등
엄나무의 적용질환
풍습으로 인한 마비통증, 신경통,
요통, 관절염, 타박상, 옴, 종기 등
▶음나무 또는 엄목(嚴木)이라고 한다.
높이 25m에 달하며, 가지는 굵으며 크고 밑이 퍼진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다.나무껍질은 약용하며 뿌리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농촌에서는 잡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엄나무의 가지를 대문 위에 꽂아 둔다.
지방에 따라서는 개두릅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한 것을 털엄나무(var. magnificus)라고 하며, 잎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에 흰털이 다소 있는 것을 가는잎엄나무(var. maximowiczii)라고 한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海桐皮, 刺秋木)는
한국,일본,중국, 러시아등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만 자라는
1속1종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수고30m, 직경180cm까지 자란다.
어릴때는 그늘에서 잘 자라지만, 자랄수록 약한 햇볕을 좋아한다.
줄기에는 넓은 가시가 많아 옛부터 우리 조상들이 잡귀를 쫓는다고 하여 대문에 걸어 놓기도 한 유래 깊은 나무이다.
▶완전히 전개된 잎은 넓이가 10~30cm로서 잎이 큰 편이며,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윤기가 나며 뒷면의 잎맥 겨드랑이에는 담갈색의 털이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한 여름인 7~8월에 10여개의 안팎의 새가지 끝에 각기 작은 꽃이 우산꼴로 뭉쳐 피어난다.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데 열매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는 2개의 핵과로 이중 1개는 죽정이가 대부분이다. 음나무 종자는 미숙배이면서 2중휴면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초봄의 새순은
1)개두릅 또는 엉개나물이라 하여 참두릅보다도 2배이상 가격이 높고,
2)가지와 껍질은 한약제 또는 육류 요리시 이용되며,
3)향기가 독특하여 기호도가 높은 산채개발에 따른 수요도가 급진전 할것이 전망된다
▶엄나무는 험상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 있는 나무로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한다. 키 20미터, 지름 1.5미터까지 자라는 낙엽활엽큰키나무로 팔손이나무 잎을 닮은 큰 잎도 매우 인상적이다.
옛사람들은 이 나무의 날카로운 가시가 귀신의 침입을 막아 준다 하여 이 나무의 가지를 대문이나 방문 위 등 출입구에 꽂는 풍습이 있었다. 지금도 충청도나 전라도 지방에는 이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간혹 이 나무를 정자나무나 신목(神木)으로 받들기도 했는데 마을 들목이나 동네 가운데 엄나무를 심으면 전염병이 비켜 가는 것으로 믿었다.
대개 가시가 있는 나무는 독이 없고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찔레나무·아까시나무·탱자나무 등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나무는 갖가지 암, 염증 치료에 귀중한 약재가 될 수 있다.
▶엄나무는 민간에서 약으로 흔히 쓴다. 껍질을 쓰기도 하고 뿌리를 쓰기도 한다.
1)잎을 그늘에 말려서 차를 달여 마시면 좋은 향이 난다.
2)껍질을 쓸 때는 겉껍질을 긁어서 버리고 속껍질만을 쓰는데
3)여름철에 껍질을 벗겨야 잘 벗겨진다.
▶엄나무의 약효는 다양하다.
먼저 관절염·종기·암·피부병 등 염증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신경통에도 잘 들으며, 만성간염 같은 간장질환에도 효과가 크고, 늑막염·풍습으로 인한 부종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진통작용도 상당하다. 또 늘 복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 만성간염이나 간경화 초기에는 엄나무 속껍질을 잘게 썰어 말린 것 1.5킬로그램에 물 5되를 붓고 물이 3분지 1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한번에 20밀리리터씩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혹은 밥먹을 때 같이 복용한다.
▶엄나무 잎과 뿌리이용
대개 4∼5개월 정도 복용하면 80퍼센트쯤은 치유된다.
잎을 달여서 차로 늘 마시면 효과가 더 빠르다. 신경통·관절염·근육통·근육마비·신허요통 등에는 엄나무 뿌리를 생즙으로 내어 마시면 좋다.
무르고 두꺼운 뿌리껍질을 토막토막 잘라 믹서기로 갈아서 생즙을 내어 맥주잔으로 하루 1잔씩 마신다. 효과가 매우 빠르다. 특히 신허요통에는 즉효를 본다. 엄나무 줄기를 태워 기름을 내어 치료약으로 쓸 수도 있다.
▶엄나무 기름내기
엄나무를 잘게 토막 내어 오지항아리에 넣은 다음 뚜껑을 잘 봉하고 그 항아리 주위에 왕겨를 가득 쌓아 놓고 불을 붙여 태운다. 불이 다 꺼지고 난 뒤에 항아리 속에 고여 있는 기름을 약으로 쓴다. 옴·종기·피부병에 신기할 정도로 효과가 있다. 이 기름을 생수에 타서 복용하면 만성신경통·관절염을 고칠 수 있다. 엄나무 속껍질이나 뿌리로 술을 담가 먹어도 신경통·관절염·근육마비·근육통 등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엄나무의 다양한 이용
산에서 단전호흡을 공부하다가 잘못하여 늑막염이 생기거나 내장을 상한 데에는 엄나무 뿌리 생즙을 복용하면 대개 치유된다. 기침이나 가래 끓는 병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다. 엄나무의 어린 새순은 나물로도 흔히 먹는다. 봄철에 연한 새순을 살짝 데쳐 양념을 해서 먹으면 독특한 맛과 향이 난다. 엄나무순은 개두릅나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엄나무 요리
엄나무를 닭과 함께 삶아서 먹기도 하는데
->관절염이나 요통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엄나무와 닭을 함께 요리하는 전문 음식점도 여럿 생겨날 만큼 요즈음 들어 엄나무 닭요리가 인기를 얻고 있다. 엄나무는 당뇨병에도 일정한 치료작용이 있고, 강장작용도 있으며,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엄나무는 인삼과 견줄 만한 약효를 지녔지만 아직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귀중한 약물자원이다.
엄나무는 신경통,근육통,관절염에 효과가 있고,
중년에 접어들면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 오십견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한다.
만성 간염이나 간경화 등 간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_________엄나무 채취 시기와 방법_________
엄나무는 봄에 피는 개두릅이라 하여 나물로 먹는다.
맛이 쌉싸름 하면서도 향이 진하고 독특해서 어떤 사람들은 두릅보다 좋다고 한다.
* 약재로 쓸 엄나무를 채취하기도 새순을 딸 시기에 맟추는 것이 좋다.
*보통 5월 초순부터 중순경이 되는데,큰 나무에서 작은 가지를 솎아내는 식으로 한두 가지씩 자르면 두서너 나무에서만 솎아내도 충분하다.
특히 엄나무는 가지가 길쭉하게 헛자라는데,헛자란 가지를 솎아주면 이듬해부터 더 많은 잔가지가 나오기 때문에 나무의 생육에는 별 지장이 없다.
1. 자른 가지에서 우선 순을 따고,굵은 가지는 껍질을 벗긴다.나무에 물이 올라 잘 벗겨지게 마련이다.
2. 벗긴 껍질의 겉 표피를 낫으로 긁어내고 하얀 속겁질을 약재로 쓴다.자잘한 잔가지는 가시가 많은데,한 뼘 길이로 잘라 그대로 쓰면 된다.
3. 모든 생약재 나무나 겁질을 채취해서 말릴때,대충 10~20cm정도로 잘라서 묶어두는 것이 갈무리하기에 편하다.
__________엄나무차 달이는 방법_____________
1. 껍질과 잔가지를 손마디 만큼씩 잘게 잘라 씻어서 100g 정도를 되들이 주전자에 넣고 귾인다.
2. 일단 끊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 뭉근하게 한 시간 이상 달인다.오래 달일수록 좋다.
(압력 밥솥에 약재와 물을 적당량 붓고 달여도 좋다.역시 일단 끊기 시작하면 불을 줄여서 한 시간 정도 달이고 불을 끈 다음 김이 빠진 뒤에 뚜껑을 열어야 한다).
3. 옅은 담황색의 차 빛깔은 녹차와 비슷한데,차맛과 은은한 향기 또한 녹차와 흡사하다.
4. 달여진 차는 병에 담아 냉장고에 두고 차게 마셔도 좋다.
*금방 끊여 따끈할때 향을 음미하며 천천히 마시면 정신이 황홀하다.
*빈잔을 손에서 놓기 안타까울때,서너잔 마셔도 아무런 부담이 없는 순하고 부드러운 고급차다.
* 엄나무차는 가미(加味)를 하면 맛을 버린다.따라서 마시기도 부담없고 편하다.
*엄나무차는 기막히게 맛도 좋고,부드럽게 쌉쌀하며,혀끝에 남는 뒷맛은 감미롭게 달다.
----------- 엄나무 잎차 -----------
엄나무잎을 그늘에서 말려 달려서 차로 마신다.
상기자료는 동의보감에 발취 재 정리 한것 입니다.
약초구입
전화상담 및 방문 환영합니다.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종에 대한 자료모음 1 (0) | 2016.04.28 |
---|---|
★★ 자료 부추 (0) | 2016.04.27 |
모란(목단) (0) | 2016.02.03 |
(건강에 좋은 물) 천연식초의 효능 (0) | 2015.08.22 |
★★★ 노간주나무(노송나무) (0) | 2015.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