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간의 위치
간장은 인체중에서 가장 큰 선으로 횡격막의 바로 밑에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데 그 하단이 늑골궁 밑에 가려져 정상의 상태에서는 간이 만져지지 않는다. 그러나 간이 종대(腫大)되면 밖에서도 촉지된다. 대부분이 복막에 싸여 횡격막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정상 상태에서는 밖에서 만져지지 않어나, 간에 질환이 생기면 간이 부어서 외부에서 만져진다고 합니다. 심하분은 오른쪽 어께까지 손으로 누르면 아픔이 전해진다고 합니다.
2.간의 형상과 구조
간장은 암적갈색으로 비교적 무른 실질(實質)의 장기이며 약 1.5Kg이나 되고, 위는 둥글고 밑은 우묵하며 우엽과 좌엽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엽이 훨씬 크며 두엽사이를 겸상인대(鎌狀靭帶)가 경계짓고 있고, 횡격막과 복벽에 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인대의 자유연에 따라있는 또 하나의 인대가 있는데 이것을 간원삭(肝圓索)이라 한다. 이것은 태생기에 있었던 제정맥(臍靜脈)이 퇴화된 유물이다. 간의 하면에는 대략 영문 H자 모양의 구분이 지어져 있는데 윗부분은 미상엽(尾狀葉), 아랫부분은 방형엽(方形葉)을 이루며 상기 두엽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간문(肝門)이라고 한다. 이 간문에는 간으로 출입하는 혈관인 간동맥, 문맥, 간관, 신경등이 위치한다. 그리고 우엽 밑에는 담낭 즉 쓸개가 붙어 있다. 간장은 수없이 많은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소엽은 흡사 주사위 모양의 간세포가 모여서 된 것이다.
각 소엽은 선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간세포에서 분비되는 담즙은 수많은 간관(肝管)으로 모여서 좌 우간관 으로 간문을 나와 곧 합쳐서 총 간관을 이루고 다시 담낭에서 나오는 담낭관과 합쳐서 총 담관이 되며 십이지장 유두에 개구 한다.
간으로 흘러 들어가는 혈관은 두 종류가 있다. 이것은 간동맥과 문맥인데 간동맥은 복강동맥에서 갈라지는 동맥의 가지이며 문맥은 장간막 정맥이 모인 정맥이다. 문맥은 장간막 정맥이 모인 정맥이다. 문맥은 간의 소엽 안에서 모세혈관으로 갈라져 간동맥의 모세혈관과 합쳐서 중심정맥을 거쳐서 다시 간정맥으로 되어 하대정맥으로 연결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간장 안에서는 간동맥에서 온 동맥혈과 문맥에서 온 정맥혈이 합류된다. 그리고 모세 혈관에는 특수한 내피세포인 성세포(星細胞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해독작용을 한다. 간동맥혈은 주로 간의 영양공급에 관계하며, 문맥혈은 소장에서 흡수한 영양소등을 간소엽에서 처리한다.
~간에는 수많은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공부할때에는 그 소엽 하나하나의 모세혈관까지 숮를 보았지만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아무튼 모세혈관이 어마어마하게 분포되어 있다 합니다. 그래서 간을 보면 붉은 색은 보이는것이 다 피덩어리라서 그런다 합니다.
3.간의 작용
1)담즙의 분비
간장은 외분비선으로 하루에 약 600ml의 담즙, 즉 쓸개즙을 분비하여 십이지장으로 보내 소화를 돕는다. 담즙은 음식물중의 지방분을 소화하는데 큰 도음을 준다. 담즙분비가 어려우면 황달을 일으킨다.
2)당원의 생산과 처리
혈액안에 포도당이 많으면 이것을 당원으로 하여 간장에 저장하며, 혈액속에 포도당이 부족하면 당원을 포도당으로 만들어 피속으로 보냄으로써 특히 근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 한다.
3)혈액응고
혈액응고에 없어서는 안될 섬유소원과 프로트롬빈을 만든다.
4)해독작용 혈액속의 유독물질을 무독화 시켜서 담즙속으로 배설한다.
5)적혈구 파괴와 신생작용
오래된 적혈구를 분해하고, 새로운 적혈구의 성숙을 돕는다. 그리고 파괴된 적혈구는 담즙으로 배설한다.
6)혈액의 저장
혈액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출혈시에는 저장되었던 혈액을 동원한다.
7)조혈작용
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의 성숙을 돕는 물질을 만든다.
8)요소와 요산의 생산.
불필요한 아미노산을 분해하여 요소와 요산을 산출하여 신장을 통해서 배출한다.
9)혈장단백(血漿蛋白)
혈장속에 있는 알부민은 간장에서 만들어 진다.
4.간에 병이생기면 나타나는 주요증상
1)피로 권태가 온다.
이유없이 전신이 피로하고 권태로우며 졸립고 몸이 나른하고 식욕이 없다.
2)황달이 온다.
온 몸의 피부색이 누렇게 변하고, 특히 얼굴이 노래지면서 눈의 흰동자 즉 공막이 노래진다. 이것을 황달이라고 하는데 황달은 먼저 눈의 희자위에 나타나고 마침내 안면이나 수장(手掌)그리고 가슴등으로 퍼진다.
3)요색이 황색이 된다.
간이 건강한 사람은 요색이 담황색 즉 맥주의 색갈 같은데 간의 병으로 혈액중에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그것이 오줌으로 임력(淋瀝)되어 요색이(尿色) 노래지고 심하면 위스키 같은 황갈색으로 변한다.
4)야맹과 안몽(眼蒙)이 온다.
간에 병이생기면 밤에 눈이 어두운 증상인 야맹(夜盲)이 된다. 이 야맹을 작목(雀目)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참새가 밤만되면 전혀 눈이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몽 즉 눈이 잘 보이지 않게된다.
5)다루(多淚)가 된다.
다루로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인데 간에 병이 생기면 아무 이유없이 눈물이 잘 나와 손수건을 자주 눈에 대게 된다.
6)수명(羞明)이 된다.
수명은 눈이 부셔서 밝은 빛을 똑바로 보지 못하고 눈을 손으로 가리는 것인데 간병에는 수명증상도 온다.
7)몸이 스멀스멀하다.
몸이 스멀스멀한 것은 가려운 소양증과는 다르다. 다시 표현하면 개미같은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이 피부에 생기어 피가 나도록 긁게한다. 이것을 의주감(蟻走感)이라 표현하고 있다. 황달이 심해지면 빌리루빈과 함께 담즙산이 피부에 증가하여 이런 현상이 생긴다.
8)대변색이 뿌옇다.
간에 병이들면 대변색이 뿌옇게 되는 것은 간기능이 저하되어 담즙을 분비배설 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변색이 황갈색이고 다갈색인 것은 담즙속의 빌리루빈 때문이다.
9)남자의 유방이 커진다.
간이 병들면 남자 환자중에서 유방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더구나 젖에 응어리가 생겨서 이것을 쥐게되면 몹시 아프다.
10)수장자홍반(手掌紫紅斑)이 생긴다.
손바닥이 붉은 자홍색 빛으로 변하면 간에 병이 생긴 것을 의심 하여야 한다. 특히 무지(拇指)와 소지(小指)쪽의 불룩한 근육상에 나타난다. 여성은 한번이라도 출산경험이 있으면 손바닥이 붉어지므로 참고를 하여야 한다.
11)거미줄 모양의 혈관종이 생긴다.
간에 병이 있으면 가슴, 어깨, 등, 목을 비롯한 상반신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일이 많은데 의서는 지주망상(蜘蛛網狀) 즉 거미줄 같은 혈관종이라고 한다.
5.간장병에 좋은 민간요법
1)다슬기 기름
민물고둥(다슬기)를 기름을 짜서 먹는다. 민물고둥은 청색을 나타낸다. 청색은 오행상 간목(肝木)을 상징하므로 간에는 명약이 된다.
-약 서말정도 되는 항아리를 두개 준비한다 하나는 입구가 약간 작은것으로 하여 큰 항아리의 입구에 포개질 수 있도록 한다.
-입구가 작은 항아리에 준비한 민물 고둥을 넣고 입구를 삼베 또는 광목을 두겹으로 막고 풀리지 않도록 끈 등으로 칭칭 동여 맨다.
-입이 큰 항아리를 땅에 묻은 후 입이 작은 항아리를 그 위에 거꾸로 얹어 놓고 맞 물린 입구를 새지 않게 진흙으로 꼭꼭 봉한다. 만약 공기가 새나가면 악취가 날 수 있으니 조심한다.
-작은 항아리를 새끼줄로 항아리 전체를 감은 다은 손바닥 두께로 진 흙을 바른다.
-왕겨를 항아리가 여유 있게 잠길 정도로 왕겨를 붓고 불을 지펴 왕겨가 타게 한다. 약 1주일이 지나 불이 꺼지고 항아리가 식으면 민물고둥의 기름을 채취해 하루 두번 아침 저녁으로 공복에 복용을 한다.
2)벌나무
간질환 치료의 최고의 약재이다. 항암 희귀 약초편에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주의 : 벌나무 다린액을 복용할 때는 기타 다른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삼가해야 약효가 최대로 나타나는 것이니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이밖에 토산웅담, 토산사향을 가미한 토우황, 노나무, 산머루나무등이 있으며 노나무의 산지는 제주도인데 이제는 거의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노나무는 약간의 독이 있으니 복용에 주의를 요한다.
만성간염
* 살아있는 다슬기 10키로 개머루덩굴 2키로 시호600그람을 한데넣고 물두말을 부은다음 절반이 되게 달여서 식후에 한컵씩 온복하면 잘 듯는다.
* 벌나무 50그람 지구자과경30그람을 한데넣고 달임물을 만들어 인진쑥으로 청을내어 만든환 50개와 함께 식후에 온복하면 뚜렷한 효험이 있다.
* 천마술40미리리터(소주잔으로 한잔)에 웅담2그람 사향1그람을 한데넣고 잠자리에 들기전에 복용하고 땀을 흠벅내면 매우효험이 뚜렷하다. 본처방은 간암. 간경화증에도 매우효험이 뚜렷하고 증상과 체구에 따라서 웅담과 사향의 복용량이 증가된다.
* 금은화 10그램, 백출 8그램, 오미자 6그램, 백작약 감초 맥아 용담 후박 백복령 각 4그램, 대황 복숭아씨 각 3그램을 한 첩으로 하여 하루 2첩을 따뜻한 물 1리터에 담갔다가 30밀리리터 되게 달인 다음 오미자를 넣고 약 1시간 정도 우린다. 이것을 걸러서 하루 3번 밥먹고 30분 뒤에 먹는다. 소화장애가 심하고 밥맛이 없으며 헛배가 부를 때에는 청피, 지실을 더 넣고 출혈이 있을 때에는 복숭아씨를 줄이고 아교를 더 넣는다. 변비가 심할 때에는 대황과 복숭아씨의 양을 조절하며 대장염 증세가 있으면 목향 황백 황련을 더 넣는다. 몸이 늘 차가울 때에는 건강 아교 당귀를 더 넣고 저산성 위염이 있을 때에는 계내금과 차전자를 더 넣어 쓴다. 2-4개월 복용한다. 완치는 42퍼센트, 호전 55퍼센트이다.
* 인진쑥을 달여 엿 1.5킬로그램을 만든다. 황금 80그램을 껍질을 벗기고 가루 낸다. 녹반 50그램을 가루 낸다. 도롱뇽 말린 것 5마리 이상을 가루 낸다. 미나리 말린 것 100그램, 댑싸리씨와 잎 말린 것 100그램. 인진쑥엿에 다른 약재들을 섞어 개어서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5알씩 하루 3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5개월 - 1년 동안 먹는다. 6개월 동안 이것을 먹고 몸이 좋아져서 직장을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인진쑥을 8-9월에 베어 말려서 잘게 썬 것 2킬로그램에 따뜻한 물을 6배 붓고 4시간 동안 온침한다. 이것을 60-70도에서 걸러서 1차액을 얻는다. 이 때 나온 찌꺼기에 물을 3배 붓고 2시간 동안 온침하였다가 걸러서 2차 액을 얻는다. 두 가지 추출액을 합쳐서 하룻동안 두었다가 윗층액을 따라서 설탕 6킬로그램을 넣어 완전히 푼 다음 끓인다. 이 때 거품이 많이 일어나는데 이 거품을 걷어내면서 10리터가 되게 졸인다.이것을 한번에 60밀리리터씩 하루 3번 밥먹고 30분 뒤에 먹는다. 30일 동안 복용한다. 소화장애, 식욕부진, 무력감 등이 잘 없어지고 시력장애가 있는 사람은 시력이 좋아진다. 간이 부은 것에는 치료효과가 높지만 복수가 있을 때에는 효과가 없다. 중독성 간염에 치료효과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전염성 간염, 위장질환,대장염 등으로 인한 만성 간염 등의 순서로 효과가 있었다. 간경변증
* 벌나무 60그람 지구자 과경50그람 인진20 그람을 하루 분량으로 해서 진하게 달인다음 식후에 온복하면 매우잘듯는다.
* 살아있는 다슬기 1키로 시호30그람 벌나무30그람 익모초10그람 개머루덩굴30그람을 한데넣고 달임액을 만들어 식후에 온복하면 뚜렷한 효험이 있고 증상에 따라서 웅담을 천마술에 타서 복용하면서 솔잎을 이부자리속에 넣고 그속에 들어가서 땀을 흠씬내면 매우좋다
* 사과나무껍질을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린 것 1킬로그램에 물 3리터를 붓고 천천히 달여서 0.5리터쯤 되면 식혀서 여러 겹의 천으로 거른다. 이것을 한 번에 200밀리리터씩 하루 한 번 먹는다.
소변량을 보면서 먹어야 하며 소변량이 갑자기 많아지면 복용량을 줄인다.
간염이나 간경화로 인한 복수에 효험이 좋다. 3-5일 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2개월 뒤에는 복수가 완전히 빠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며 다른 여러 증상이 없어진다. 만성 간염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 율무 20그램, 백출 백복령 각 16그램, 백작약 당귀 숙지황 황기 토사자 생지황 택사 각 12그램 목통 산사 인삼 호로파 ... 용담 각 8그램, 감초 4그램에 물 1리터를 붓고 달여서 450-500밀리리터가 되게 하여 하루 3번 밥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3-6개월 복용한다. 유효율은 82퍼센트였다
담석증
* 살아있는 다슬기 1키로 결명자(볶은것) 40그람 속단20그람 개머루덩굴 120그람을 한데넣고 진하게 달여서 식후에 온복하면 매우효험이 좋다.
* 결명자(볶은 것)20그람 땅강아지(술에담갔다가 볶은 것) 금은화. 황기 각12그람 홍화.배복령.위령선 각6그람 원지.석창포.천궁.백지.반하.오약.향부자.산조인.감초 각4그람을 진하게 달여서 빈속에 복용하면 잘 듯는다
* 긴병꽃풀 인진 각 10그램, 목향 지각 지실 치자 후박 대황 각 6그램, 망초(달인 뒤에 넣는다)
8그램을 물로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밥먹기 전에 먹는다. 하루 2첩을 쓴다.
열이 날 때는 목향, 지각, 후박의 양을 줄이고 연교, 포공영, 패장, 율무 각 4그램을 더 넣어서 쓴다. 통증이 심할 때에는 고련실, 현호색 4그램을 더 넣는다. 몸이 허약할 때에는 만삼, 황기 6그램을 넣어서 쓴다.
*큰비쑥(바다가쑥)을 물로 달여 물엿처럼 될 때까지 농축하여 큰비쑥 가루를 섞어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2-3그램씩 ... 하루 3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큰비쑥은 담즙을 잘 나오게 하고 담석이 생기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다
간암
* 밭마늘을 매일 200그람이상씩 죽염에 찍어서 찬으로 먹으면서 검은콩 검은깨 찹쌀을 한데넣고 밥을해서 먹으면 효험이 있고 식사후 소화가 잘않되면 유근피를 진하게 달여서 죽염과 함께 복용하면 된다.
* 오래된 천마술에 품질좋은 사향과 웅담을 각2그람씩 타서 아침저녁으로 식후에 복용하면서 가시오가피.천삼 각50그람 상황버섯20그람을 한데넣고 달임물을 만들어 음용수로 상복하면 효험이 잇다.
* 개머루 덩굴20키로 살아있는 다슬기10키로를 한데넣고 기름을 내어서 상복하면 효험이 있다.
* 만병초.솔잎.화살나무.익모초.다래나무뿌리 각1키로를 한데넣고 오랜시간 끓여서 건더기를 버리고 다시 끓여서 조청이 되게 한다음 식후에 티스픈으로 한수저씩 꿀에타서 복용한다
* 두릅나무껍질 40그램, 백굴채 50그램, 자작나무버섯 겨우살이 각 20그램, 조릿대 황기 각 15그램, 오갈피 금은화 각 8그램 전호 엄나무껍질 감초 각 5그램, 장춘화 돌이끼 마아실 냉화초 각 2그램을 물로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밥먹기 전에 먹는다.
* 조릿대 엑기스를 한 번에 1.5그램씩 하루 3번 밥먹는 중간에 먹는다. 간암, 위암, 위십이지장궤양 등에 쓴다.
* 조릿대 15그램, 율무 25그램, 기와버섯 20그램, 행인 10그램, 두릅나무껍질 6그램,
... 감초 5그램을 물로 24시간 동안 천천히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밥먹는 중간에 먹는다.
인진호탕
인진호 6g, 치자 2g, 대황 2g을 600ml의 물에 넣어 반이 되도록 달여 100ml씩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이상은 동의보감에 인용한것으로
흘림체는 제 시견을 임의 내용을 보충한것임을 알려 드림니다.
추신
내 경우에는 간에 좋은 것을 섭취하고 좋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노력을 합니다.
음식요법~ 평소에 먹는 국으로 채첩국,미역국,명태국,콩나물국을 돌아가면서 먹습니다.
물리요법~ 잠을 잘때 우측에 있는 간장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잠을 우측으로 한 옆잠을 잔다.
영양요법~ 간은 수많은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진바 혈액순환에 좋은 영양제를 복용합니다.
약초요법~ 본문에 있는 약초를 참고하여 이용하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대전에 국영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에 견학을 했을때 연구소에 근무하시는 박사님 말씀리 지금도 생생이 기억나네요. 간만 건강하게 관리해 주면 암이나 질병으로 에방을 할수 있다는 말씀......
지금은 내가 건강하지만 건강할때 건강 생각하라고
저는 늘 제 건강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디(상실자,상실) (0) | 2014.05.26 |
---|---|
혈압에 도움이 되는 약초소개 (0) | 2014.04.19 |
삽주(창출,백출) (0) | 2014.01.25 |
초피(재피) (0) | 2014.01.21 |
자귀나무(합환피) (0) | 2014.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