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쥔장->약초산행기/한방·민방자료실

당뇨병의 식사요법,운동요법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1. 11. 6.

 

 

 

 

 

 

당뇨병의 식사요법,운동요법

가시오가피가 좋다

* "가시오갈피가 혈당을 내려 줍니다"
  당뇨병을 "소갈증"이라고 부르는데 동의보감에서는 그 후유증이 무섭다고 했습니다.  
  당뇨병의 후유증으로는 신장이 나빠지고 운동신경과 지각신경이 나빠지며 눈에 이상이 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갈피는 인삼만큼 좋다고 할 정도로 혈당 강하 작용이 상당히 크므로 당뇨병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은
  가시오갈피를 하루에 15g씩 끓여 마시도록 하세요.


초두가 좋다
* "당뇨병으로 피로할때 초두가 효과적입니다"
  동물을 콩으로 사육하게 되면 췌장이 비대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췌장이 비대해지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예방.치료하는 것이 됩니다.
  흠집없는 메주콩을 젖은 행주로 닦아서 밀폐용기에 담은 다음 콩이 잠기도록 양조식초를 부어
  일주일간 부풀게 해서 하루 7~10알 정도  먹으면 됩니다.


 ▷ 당 뇨 병

인슐린 작용 부족으로 생기는 당대사 질환으로서 고혈당이 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 질병이다.
식사 후에 혈액속에 당분값이 올라가면 당분은 세포안으로 들어가 직접 에너지로 만들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당원이나 지방으로 전환되어 혈당을 유지한다.
혈당조절 과정에서 혈액속의 당분을 세포안으로 들여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췌장(이자)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고 세포안에 저장된 당원이나 지방을 세포밖으로 끄집어 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췌장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이라는 호르몬이다. 췌장이 인슐린의 분비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인슐린 분비가 부족해지거나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더라도 인슐린이 혈액속의 당분을 세포밖으로 밀어 넣는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면, 혈액속의 당분은 그대로 남게 된다.

당뇨병의 증상
다갈, 다음, 다뇨의 증상이 나타나면 일단 당뇨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췌장이 인슐린 분비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인슐린 준비가 부족하여 생기는 당뇨병을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이라고 한다.
인슐린이 정상으로 분비되더라도 인슐린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발생하는 당뇨병을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 한다.
제1형 당뇨병은 주로 30세 이전에 발병율이 많은데 보통 몸이 마른 사람이 많으며 대개 급작스럽게 발병하고 체중감소나 급성 합병증을 일으킨다.
제2형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90%정도를 차지하며 연령과 비만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병율이 더욱 높아지며, 절반 이상이 정상체중 이상의 과다 체중이나 비만증으로 인하여 근육이나 지방세포의 말초 조직의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둔화되어 당질 대사의 장애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당뇨병의 식사
▶섬유소가 많은 잡곡류, 콩, 식물을 많이 섭취하고 과일도 쥬스보다는 생과일로 먹으며, 신선한 채소도 껍질채 먹는 것이 좋다.
▶섬유소는 위나 장에서 음식물 통과시간을 지연시키고, 탄수화물의 분해를 억제하여 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켜 공복감을 완화시켜 준다.
▶이와 반대로 흰 쌀밥, 흰빵, 삶은 감자 등은 섬유소 함량이 적기 때문에 설탕처럼 장에서 쉽게 흡수되므로 혈당상승을 촉진시킨다.
▶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은 피하고 식물성기름으로 요리한다
저지방육을 섭취하고 지방이 많은 식품은 요리법을 바꿔서 먹도록 한다. (삶기, 철판구이, 쿠킹호일로 싸서 굽기 등)
▶식사사이에 공복감을 느끼면 채소류, 맑은 육수, 차 종류, 저열량음료,물 등의 저칼로리 식품을 섭취한다.
▶저지방유, 가공 두유를 이용하면 적은 열량을 섭취할 수 있다. 외식시 식사요법은 여러 방향에서 생각하고 적절한 식품을 선택한다.
술은 혈당조절에 방해가 된다.
▶설탕이 많이 든 꿀, 시럽, 쨈, 케익, 파이, 청량음료 등은 피한다. 운동요법은 식사요법과 함께 실시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저혈당증을 일으키는 원인
▶투여된 인슐린 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
▶식사량이 너무 적었거나 많은 경우
▶구토나 설사가 있는 경우
▶평소보다 운동량이나 활동량이 많은 경우
▶인슐린이 투여된 부위의 근육을 투여 직후 과도하게 사용한 경우
▶술을 마신 경우

당뇨병 식사요법의 목표
▶알맞은 열량(영양소의 양)을 섭취한다.
▶표준체중을 유지한다.
▶3대 영양소를 골고루 먹는다.
▶비타민, 무기질도 부족하지 않게 먹는다.
▶혈당조절을 위하여 다른 혈당조절 수단과 조화를 이룬다.
▶개인에 따라 적당히 식사요법을 변경하여 건전한 식생활을 한다.

적당한 에너지 섭취량계산법
표준체중(kg)=[신장(cm)-100] x 0.9

1일 적당한 에너지 필요량
*가벼운 활동시 : 표중체중 x 30(Kcal)
*중정도 활동시 : 표중체중 x 35(Kcal) 심한 
*활동시 : 표중체중 x 40(Kcal)
*격심한 활동시 : 표중체중 x 45(Kcal)


당뇨병의 운동요법

아침 식전의 운동을 피하고 식후 30분에서 2시간 지난 후 빨리 걷기, 고정식 자전거,조깅, 수영 등의 유산소성 운동이 바람직하다.

1주일에 5일 이상하는 것이 좋으며 30분에서 45분 정도 운동을 한다. 운동시 저혈당을 대비하여 운동시작 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 경과하면 꿀물, 쥬스, 사탕 한알 정도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발의 관리를 위하여는 잘 맞는 운동화를 신고ㅡ 운동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탈수증에 빠질 가능성이 많으며 탈수증으로 인하여 당뇨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 전과 운동 후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하여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