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약초꾼의 산야초건강원(산나물/약초/버섯)
쥔장->약초산행기/한방·민방자료실

변비치료

by 약초꾼 참살이(金容哲) 2012. 1. 6.

 

 

 

 

 

 

 

변   비


변비란?

대변이 오랫동안 배 안에 머물러 있어서 굳어지고 뒤보기 힘든 것을 말한다.

변비의 여러가지 원인

변비는 주로 편식을 하거나 채소를 적게 먹고 고기를 많이 먹었을 때, 위장장애, 간장애 등 여러 가지 병이 있을 때, 대변을 억지로 참았을 때에 올 수 있다.

 

변비가 생기면 생기는 현상?

변비가 생기면 배가 불어나고 입맛이 떨어지며 머리가 무거우며 늘 기분이 흐리터분해진다.

이 밖에 변비가 오래 계속되면 치핵을 비롯하여 항문질병이 생기며 나아가서는 사람들을 늙게도 한다.

변비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하여서는 매일 뒤를 한번씩 보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병이 원인으로 되어 변비가 생겼을 때에는 그 병을 치료하는 것과 함께 치료식사, 운동치료 등을 하여야 한다.

<치료식사>

섬유질이 많은 배추, 무를 비롯한 채소류, 현미밥, 감자, 고구마, 땅콩, 과일, 식초 등을 일상적으로 먹는다. 이 밖에 변비가 올 때에는 아침 빈속에 찬물, 사이다, 약수 등을 한 사발씩 마신다.

<약물치료>

1)역삼씨:
볶아서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하루 3번 끼니 1시간 전에 먹는다. 역삼씨는 장점막을 자극하여 장의 윤동운동을 항진시키고 물기가 잘 흡수되지 않게 하므로 변을 무르게 한다.

2)결명씨(결명자): 볶은 것 두 숟가락을 물 1에 넣고 절반량이 되게 달여서 3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또한 결명씨와 살구씨를 2:1의 비로 섞어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6-8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결명씨에 있는 아글리콘은 장점막을 자극하여 윤동운동을 항진시켜서 장내용물이 빨리 배설되게 한다.

3)나팔꽃씨(견우자): 약한 불에 볶아서 가루낸 것을 한번에 3g씩 하루 3번 끼니 전에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 센 설사작용이 있다. 변비가 심한 때 그리고 몸이 부으면서 변이 나가지 않는 때 쓴다.

4)땅콩: 마른 땅콩 15g을 볶아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심한 변비도 2-3일 먹으면 대변이 묽어진다.

5)돼지담즙: 10g을 물 50ml에 풀어서 관장을 한다. 그러면 심한 변비도 30분-1시간 만에는 풀린다. 배를 수술한 다음 장마비가 왔을 때 쓴다.

6)호두살(호두육), 잣(해송자): 호두살이나 잣씨를 한번에 20-30g씩 하루 2-3번 먹는다. 몸이 허약하거나 늙은이들이 뒤가 굳은 데 쓴다.

7)이스라치씨(육리인):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4-5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또는 신선한 것 10-15g을 짓찧어낸 즙을 끓여 먹어도 된다. 늙은이, 산모 및 허약한 사람들의 변비,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
8)역삼씨, 당귀: 역삼씨 20g, 당귀 12g을 물에 달인 다음 꿀 20g을 넣어 꿀물약을 만들어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습관성 변비 특히 늙은이, 어린이, 해산 후 및 허약한 사람들의 변비에 쓴다.

9)대황, 감초: 대황 50g, 감초 10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3g씩 저녁끼니 뒤 3시간 정도 지나서 먹는다. 대황의 디아트론배당체는 소장에는 작용하지 않고 대장에 이르러 대장의 윤동운동을 세게 하여 설사를 일으키는데 적당한 양에서는 굳은 대변을 무르게 한다.

10)소마죽: 차조기씨, 삼씨 각각 30-50g을 물에 넣고 짓찧어서 즙을 짜낸 데다 입쌀가루를 좀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 또는 몸푼 뒤의 여자들의 변비에 쓴다.

11)소리쟁이: 햇빛에 말려 겉껍질을 버리고 가루낸 것을 한번에 12g씩 하루 3번 미음에 타서 먹는다. 장위에 열이 쌓여 변비가 된 데, 음식에 체한 데서 온 변비에 쓴다.
소리쟁이뿌리에는 에모딘이 들어 있어 약한 설사작용을 한다.

12)느릅나무껍질: 잘게 썬 것을 한번에 4-10g씩 하루 3번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장위에 열로 변비가 생긴 데 쓴다.

13)나팔꽃씨(견우자), 복숭아씨(도인): 나팔꽃씨(약간 닦은 것) 40g, 복숭아씨(닦은 것) 20g을 가루내어 졸인꿀로 반죽해서 0.3g 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40알씩 하루 1-2번 더운물로 먹는다. 풍비에 쓴다.

14)복숭아씨(도인): 한번에 5-10g을 짓찧어 죽을 쑤어 먹는다. 장위에 피가 모자라 뒤가 굳은 데 쓴다.

15)잣: 껍질을 벗긴 것을 한번에 20-30g씩 하루 2-3번 먹는다. 늙은이의 변비에 쓴다.

16)복숭아씨(도인), 잣(해송자), 율무쌀(의이인): 복숭아씨 20g, 율무쌀 40g을 물에 달여 찌꺼기를 짜버린 데다 잦 100g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늙은이의 변비, 기혈부족으로 온 변비에 쓴다.

17)역삼씨: 가루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또는 들깨가루를 더 넣어 죽을 쑤어 먹기도 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이나 늙은이에게서 뒤가 굳은 데 쓴다.

18)나팔꽃씨(견우자): 닦은 것 절반, 생것 절반을 함께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그래도 대소변이 나가지 않으면 더운 찻물에 타서 먹는다. 변비에 쓴다.

19)꿀: 한번에 50-160g씩 하루 2-3번 먹는다. 꿀 100g을 물 400ml에 풀어서 주사기로 관장을 하면 더욱 좋다. 꿀은 뒤를 무르게 하는 작용이 있는데 특히 허약자나 임신부, 늙은이 변비에 좋다.

20)꿀, 소금: 꿀 40-50g, 소금 8-10g을 물에 풀어서 아침 빈속에 먹는다. 2-5일 먹으면 변비가 풀린다.

21)꿀, 깨: 꿀 100g에 들깨 50g을 섞어서 8-12시간 두었다가 1-2번에 갈라 빈속에 먹는다.

22)삼씨(마자인): 불에 닦은 것을 한번에 8-10g씩 하루 2번 빈속에 먹는다.

23)삼씨(마자인), 꿀: 삼씨를 보드랍게 가루낸 것 300g에 꿀 100g을 넣고 잘 개어서 한번에 15-20g씩 하루 2번 빈속에 먹는다.

24)삼씨(마자인), 호두: 삼씨 10g과 호두 30g을 약한 불에 닦아서 하루 2번에 갈라 끼니 뒤에 먹는다.

25)수세미오이넝쿨, 꿀: 서리가 내린 이후에 수세미오이넝쿨을 거두어 불에 태워서 보드랍게 가루낸 것을 한번에 5-6g씩 꿀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26)돌아욱씨: 늦은 여름에 돌아욱씨를 받아서 말려 두고 쓴다. 한번에 10-20g씩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27)생감자: 깨끗이 씻어서 껍질째로 짓찧거나 갈아서 즙을 내어 한번에 30-50ml씩 하루 2-3번 먹는다.

28)참기름, 피마주기름, 소금: 참기름 4ml, 피마주기름 2ml, 소금 2g을 한데 섞어 아침 빈속에 먹는다.

29)복숭아씨(도인): 물을 조금 넣고 짓찧어서 짜낸 즙을 15-20ml씩 넣고 짤죽을 쑤어 먹는다.

30)잣(해송자): 잘 여문 것을 하루 20-30g씩 계속 먹는다.

31)복숭아씨(도인): 가루내어 한번에 5-10g씩 하루 2-3번 먹는다.

32)소리쟁이뿌리, 감초: 소리쟁이뿌리 16g, 감초 6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갈라 끼니 뒤에 먹는다. 변비에 쓴다.
소리쟁이뿌리에는 크리소판산, 안트라키논 등이 들어 있어 설사작용을 한다.

 

산야초건강원

 

010-5529-2322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숙변해결에 좋은 함초  (0) 2012.01.07
소금을 먹고 사는 함초  (0) 2012.01.07
민들레 이용  (0) 2011.12.18
★★계피  (0) 2011.12.07
★★수족냉증치료(한방자료모음)  (0) 2011.1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