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비(脾)
한의학상 비(脾)는 소화(消化)와 영양(營養)을 맡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비(脾)를 흙(土)에 비유한다. 흙이 만물을 길러 내는 것처럼 비(脾)가 온몸의 살에 영양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비장(脾臟)과 췌장(膵臟)이 비(脾)의 작용을 맡은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비(脾)와 위(胃)는 한짝으로 마치 부부 같은 장기(臟器)이며("비위가 상한다."같은 말은 이 사실을 나타낸다), 췌장(膵臟)은 소화액(消化液)을 분비(分泌)한다.
비장(脾臟)은 느리게 규칙적으로 수축(收縮)하면서 백혈구(白血球)를 생성(生成)하고(비장(脾臟) 정맥혈(靜脈血)은 동맥혈(動脈血)보다 백혈구(白血球)의 함유량이 더 많다)파괴한다.
또 요산(尿酸)을 생성(生成)하는데 이 요산(尿酸)은 죽은 백혈구(白血球)의 핵(核)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비장(脾臟)은 적혈구(赤血球)를 파괴하고(많이 또는 적게 분해된 여러 층의 적혈구(赤血球)를 담고 있는 세포를 비장(脾臟) 안에서 볼 수 있다)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장(脾臟)은 전염병(傳染病)에 걸릴 때 두드러지게 부풀어오르는데, 이 때 비(脾)가 맡은 임무는 다량으로 세포를 생성시켜서 병원체(病原體)에 대항하게 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비(脾)에 속해 있는 췌장(膵臟)은 췌액(膵液)이라고 하는 알칼리성 소화액(消化液)을 분비(分泌)한다. 췌액(膵液) 분비(分泌)는 음식물(飮食物)을 섭취(攝取)한 뒤에 시작되며 특히 산성 위(胃) 내용물(內容物)이 창자로 옮아감에 따라 늘어난다. 췌액(膵液) 중에는 전분을 맥아당(麥芽糖)으로, 맥아당을 포도당(葡萄糖)으로 분해(分解)하는 효소(酵素)가 들어 있다. 그러므로 단맛은 비(脾)에 속한 맛이며, 신맛은 간(肝)에 속한 맛이라고 한다.
약에서 싹틔운 보리를 소화제(消化劑)로 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위액(胃液)과 담즙(膽汁)은 산성 소화액(消化液)이고, 췌액(膵液)은 염기성(鹽基性) 소화액(消化液)이다 이것이 알맞게 분비(分泌)되지 못하면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생긴다. 간(肝)의 산성 소화액(消化液)이 비(脾)의 염기성(鹽基性) 소화액(消化液)보다 훨씬 더 많이 분비(分泌)되어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생기는 것을 "나무가 흙을 이긴다(木克土)"라고 한다. 췌액(膵液)은 십이지장에서 위(胃)안으로 옮겨질 수 있다고 한다. 옮아가는지 거기서도 췌액(膵液)과 같은 소화액(消化液)이 분비(分泌)되는지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아무튼 한의학적(韓醫學的)으로 볼 때는 알칼리성 소화액(消化液)은 모두 비(脾)의 작용에 의한다. 그러면 왜 췌장(膵臟)을 비(脾)에 속하게 했을까? 그 이유는 몇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로 비(脾)는 소화(消化)를 맡았는데, 췌장(膵臟)은 소화액(消化液)을 분비(分泌)한다.
둘째로 단맛은 비(脾)에 소속된 맛인데, 탄수화물, 곧 당류(糖類)를 동화시키는 것은 췌장(膵臟)이다. 당뇨병(糖尿病)은 췌장(膵臟)에 관계된 병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 비(脾)와 간(肝)의 작용이 서로 대립되어 있는데 그 까닭을 담즙(膽汁)의 산성과 췌액(膵液)의 알칼리성이 대립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넷째로 비(脾)와 신(腎)의 작용이 서로 대립되어 있는데 그것은 부신(副腎)(내분비)과 췌장(膵臟)(내분비) 간의 상호(相互) 억제작용을 가리키는 것이다.
다섯째로 한의학을 하는 사람 가운데 "비(脾)를 보(補)하는 것은 신(腎)을 보(補)하는 것만 못하다(補脾不如補腎)"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거꾸로 "신(腎)을 보(補)하는 것은 비(脾)를 보(補)하는 것만 못하다(補腎不如補脾)"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소화가 잘 되면 모든 병이 없어진다는 주장과 정력이 왕성해지면 자동적으로 건강하게 된다는 주장이 맞서 있는 것이다. 어느 것이 옳고 그르고 는 제쳐놓고 이처럼 비(脾)와 신(腎)이 가장 중요한 것만은 부인할 수 없다. 신(腎)에 소속된 장기에 부신(副腎), 생식선(生殖腺), 섭호선(攝護腺) 등 내분비(內分泌) 장기가 있는 반면에 신(腎)과 마찬가지로 중요시되는 비(脾)가 거기에 소속된 내분비(內分泌) 장기(臟器)로서 췌장(膵臟)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가) 형상(形象)
①비(脾)의 형상(形象)은 마제(馬蹄)와 같고 위완(胃脘)을 내포(內包), 즉 둘 러싸고 있으니, 토형(土型)을 상(傷)한 것이다. 경락(經絡)의 기(氣)가 가운데로 들어가서 진령(眞靈)의 기운(氣運)을 운영(運營)하니 의지사(意之舍)이 다‥‥내경(內經)
②비(脾)의 형상(形象)은 마제(馬蹄), 즉 말발굽과 같고, 또 도겸(刀鎌),즉 풀베는 낫과 도같다‥‥의학입문(醫學入門)
③비(脾)의 무게가 두근(二斤) 석냥(三兩)에, 편광(扁廣)이 세치(三寸)요, 장(長), 즉 길이가 다섯치인데, 산고(散膏) 반근(半斤)이 있어서, 혈(血)을 싸고 오장(五臟)을 온(溫)하게 하고. 의(意)를 간직한다‥‥‥난경(難經)
④비(脾)는 비()로도 통(通)하니, 위(胃)의 하부(下部)에 있으면서 위기(胃氣)를 비조(裨助)하고, 수곡(收穀)의 운화(運化)를 맡았다.
위(胃)는 수납(受納)을 위주(爲主)하고, 비(脾)는 소마(消磨)를 위주(爲主)한다‥‥‥의학강목(醫學綱目)
(나) 위치(位置)
① 비(脾)의 길이가 한자인데 태창(太倉)을 엄호(掩護)하니, 태창(太倉)이란 것은 위(胃)의 상구(上口) 즉 중완혈(中脘穴)이다‥‥ 동원십서(東垣十書)
② 비(脾)가 중완(中脘)의 한치두푼(一寸二分) 위와, 심(心)의 삼촌육분(三寸六分)밑에 있으며, 신(腎)과는 세치오푼(三寸五分)의 거리(距離)이다. 중간(中間)의 한치두푼(一寸二分)쯤은 황정(黃庭), 즉 누른 뜰이라 하는데 천(天)에서는 태양(太陽)이고 지(地)에서도 태음(太陰)이고 인(人), 즉 사람에게서는 중황조기(中黃祖氣)가 된다. 도가(道家)가 비(脾)를 황정(黃庭)이라 하는데, 황(黃)은 중앙(中央)의 색(色)이요. 정(庭) 즉 뜰은 사방(四方)의 중앙(中央)이라는 의미(意味)이다. 비(脾)가 일신(一身)의 중앙(中央)에 있으므로 황정(黃庭)이라 한다‥‥‥의학입문(醫學入門)
③비(脾)는 위(胃)와 막(膜)이 서로 연(連)하여 있다‥‥내경(內經)
④장문혈(章門穴)은 즉 비(脾)의 막(膜)이며 제(臍), 즉 배꼽 양방(兩傍)에 똑바로 있고, 늑단(肋端)에 있으니. 배(背) 등에서는 척(脊)의 십일추(十一樞) 밑이, 즉 비(脾)가 있는 부위(部位)이다‥‥동인
(다) 기능(機能)
① 비주운화(脾主運化)
비(脾)의 주요기능(主要機能)의 하나는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전화(轉化)하여, 전신각처(全身各處)에 운송(運送)하는 것이다.
「소문(素門)의 경맥별론(經脈別論)]에‥‥ "수곡(水穀)이 위(胃)에 들어가면 정기(精氣)를 분리하여 이를 상행(上行)시켜 비(脾)로 운송되며, 비기(脾氣)는 정기(精氣)를 분산(分散)시켜 상행(上行)해서 폐(肺)에 흡수(吸收)된다."고 하였다.
또 「소문(素門)의 궐론(厥論)]에는‥‥"비(脾)는 주로 위(胃)에 그 진액(津液)을 전달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들은 모두 비(脾)가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전화(轉化)해서 그 진액(津液)을 운송(運送)하는 기능(機能)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 말이다.
정기(精氣)와 진액(津液)은 모든 인체(人體)의 각부(各部)를 자양(滋養)하는데 필요(必要)로 되는 물질(物質)이며, 비(脾)는 이들 물질(物質)의 주요(主要)한 공급자(供給者)의 역할(役割)을 한다.
[소문(素問)의 옥기진장론(玉機眞藏論)]에는‥‥"비(脾)의 맥(脈)은 토(土)이다. 고장(孤臟)으로 사방(四方)에 관개(灌漑)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또 "토(土)는 만물(萬物)을 낳는다."라고 한것은 비(脾)가 운화기능(運化機能)을 주재(主宰)하고 있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만약 비(脾)의 운화능력(運化能力)이 상실(喪失)되면,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순조롭게 전신각처(全身各處)에 운송(運送)할 수 없게 되며 복만(腹滿), 장명(腸鳴),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등의 증상(症狀)이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기육(肌肉)이 수척(瘦瘠)해지고, 정신(精神)까지도 약화(弱化)된다.
② 비주수습(脾主水濕)
비(脾)는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전화(轉化)시킬 뿐만 아니라, 수습(水濕)도 전화(轉化)하고 주관(主管)하는 작용(作俑)을 하고 있다.
만약 비기(脾氣)가 쇠약해지면 수습(水濕)을 전화(轉化)하는 능력(能力)을 잃게 되며 병(病)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수습(水濕)이 위장내(胃腸內)에서 흡수(吸收)되지 않으면 대변(大便)은 설사(泄瀉)하고, 소변(小便)은 불리(不利)하여 진다.
수습(水濕)이 기육(肌肉)과 피부(皮膚)에 있고, 체외(體外)로 배설(排泄)되지 않으면 신중(身中), 즉 몸이 무겁고, 부종(浮腫)이 생긴다.
「소문(素問)의 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에, "비(脾)는 습(濕)을 미워 한다."와 「소문(素問)의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에 ‥‥"제습종만(諸濕種滿)은 모두 비(脾)에 속한다."고 한 것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때문에 이런 병류(病類)의 치료는 건비(健脾)를 주로하고 리기(理氣) 또는 이습(利濕)을 이에 첨가해서 비(脾)의 운화기능(運化機能)을 회복시키면 이들 증상(症狀)은 쉽게 치유(治癒)되는 것이다.
그러나 또 명문(命門)의 상화(相火)가 쇠미(衰微)하여 화생토(火生土)의 작용(作用)이 잘 안되며 비양(脾陽)이 허약(虛弱)해지고 운화기능(運化機能)이 나빠져 소식(小食), 설사(泄瀉)등의 증상(症狀)이 나타날 때는 보화생토(補火生土)의 방법을 운용(運用)하여야만 비기(脾氣)가 회복되어 건전한 운화기능(運化機能)을 발휘하게 된다.
단순히 비(脾)를 치료하는 것 만으로는 큰 효과(效果)를 기대할 수 없다.
③ 비통혈(脾統血)
비(脾)는 생리적(生理的)으로 혈액(血液)을 통할(統轄)하는 기능(機能)도 가지고 있다. 만약 비(脾)의 기능(機能)에 이상(異常)이 생기면 혈액(血液)을 통할(統轄)하는 작용(作用)이 상실(喪失)되어 각 종의 출혈성질환(出血性疾患)이 야기 된다.
예를 들면 만성혈변(慢性血便), 월경과다(月經過多), 자궁출혈(子宮出血) 등이 발생된다. 이런 병증(病症)들을 치료하려면 "혈(血)을 끌어 비(脾)에 돌려 보낸다"와 "비(脾)를 보(補)하여 혈(血)을 양(養)한다. "는 이론(理論)에 의한 치료(治療)를 하여야만 효과(效果)를 거둘 수 있다.
④ 비주사지기육(脾主四肢肌肉)
기육(肌肉), 즉 살의 생성(生成)은 주로 수곡(水穀)의 정기공급(精氣供給)에 의존하는 것이며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운송(運送)하는 장기(臟器)는 주로 비(脾)이다.
「소문(素問)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비(脾)는 육(肉)을 생한다."라고 하였으며,
「소문(素問)의 허론(虛論)」에는 ‥‥"비(脾)는 몸의 기육(肌肉)을 관장한다."는 기록이 있다. 기육(肌肉)의 수약(瘦弱), 혹은 사지무력(四肢無力)등의 증상(症狀)은 모두 비병(脾病)의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또 「소문(素問)의 태음양명론(太陰陽明論)」에 ‥‥"비(脾)가 병들어 위(胃)에 그 진액(津液)을 돌릴 수 없을 때는 사지(四肢)가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받을 수 없게되며, 정기(精氣)는 날로 쇠약해지기 때문에 맥도(脈道)는 잘 유통(流通)이 되지 않으며, 근골기육(筋骨肌肉)은 모두 정기(精氣)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하여 활동(活動)할 수 없게 되는것이다."라고 한것은 비(脾)가 위(胃)을 위해, 진액(津液)을 운송(運送)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기육(肌肉)과 사지(四肢)의 영양(營養)이 결핍(缺乏)되고, 사지부자유(四肢不自由)증상(症狀)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⑤ 비개규우구(脾開竅于口) 비지화재순(脾之華在脣)
비(脾)의 생리(生梨) 및 병리변화(病理變化)는 구순(口脣)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비위(脾胃)의 기능(機能)이 건전(健全)한 사람은 구순(口脣)이 홍윤(紅潤)하며 광택(光澤)이 있고, 한편 비위(脾胃)의 운화(運化)에 이상이 생기면 구(口)는 점탁(粘濁)하여지, 창(瘡)이 생기며, 또 순(脣), 즉 입술은 창백(蒼白)하여지고 광택이 없어진다.
「소문(素問)의 오장생성론(五臟生成論)」에‥‥"비(脾)의 합(合)은 육(肉)이며, 그 영(榮)은 순(脣)이다."라고 한것을 보면 구순(口脣)과 비(脾)는 상응(相應)하는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라) 비(脾)가 주관(主管)하는 시일(時日)
비(脾)는 장하(長夏), 즉 음력유월(陰歷六月)을 주관(主管)하니 족태음(足太陰), 족양명(足陽明)을 주치(主治)하고, 그일(其日)은 무(戊), 기(己)이다.
중앙(中央)이 습(濕)을 생(生)하고 습(濕)이 토(土)를 생(生)하고 토(土)가 감(甘)을 생(生)하며, 감(甘)이 비(脾)를 생(生)한다.
비(脾)가 토(土)에 속하므로 장하(長夏)와 사계(四季)를 주(主) 한다‥‥ 내경(內經)
(마) 비(脾)에 관련(關聯)이 있는 물류(物類)
천(天), 즉 하늘에서는 습(濕)이요.
지(地), 즉 땅에서는 토(土)요
괘(卦)에서는 곤(坤)이며,
체(體)에서는 육(肉)이요.
장(臟)에서는 비(脾)요,
색(色)에서는 황(黃)이며,
음(音)에서는 궁(宮)이요.
성(聲)에서는 가(歌)요,
변동(變動)에 서는 얼이요,
규(竅)는 구(口)요,
미(味)는 감(甘)이며,
지(志)는 사(思)요,
액(液)은 연(延)이요,
영(榮)은 순(脣)이요,
취(臭)는 향(香)이며.
수(數)는 오(五)요,
곡(穀)은 직(稷)이며,
축(畜)은 우(牛)요,
충(蟲)은 라()이요,
과(果)는 조(棗)요,
채(菜)는 규(葵)이며,
맥(脈)은 족태음(足太陰)이다‥‥내경(內經)
(바) 비(脾)의 대소(大小)의 경우
비(脾)는 호위(護衛)를 맡고 수곡(水穀)을 받아 들이는데 입술의 호악(好惡)을 보면 비(脾)가 좋고 나쁨을 알수 있다.
황색(黃色)에 주름살이 가늘거나 수가 적은 것은 비(脾)가 작고,
조리(粗理)한 것은 비(脾)가 크고,
입술이 들려 있는것은 비(脾)가 높고,
입술이 아래로 처진 것은 비(脾)가 아래로 처져 있으며,
술이 굳센 것은 비(脾)가 굳세며,
입술이 크고 굳세지 않은 것은 비(脾)가 약하고,
입술의 상하(上下)가 다 좋은 것은 비(脾)가 단정하며,
입술이 편거(偏擧), 즉 기울어진 것은 비(脾)가 편경(偏傾)한다.
비(脾)가 작으면 장(腸)이 편하고. 사(邪)에 잘 상(傷)하지 않으며,
비(脾)가 크면 주묘(湊)를 괴롭게 하고, 아파서 질행(疾行)하지 못하며,
비(脾)가 높으면 묘(묘)가 협(脇)의 끝을 당겨서 아프고,
비(脾)가 처저 있으면 아래로 대장(大腸)을 가압(加壓)하여 장(臟)이 사(邪)를 받기 쉽고,
비(脾)가 굳세면 장(臟)이 편해서 상(傷)치 않으며,
비(脾)가 취약(脆弱)하면 소단(消), 즉 소갈병(消渴病)을 잘 앓고.
비(脾)가 단정(端正)하면 화리(禾利)해서 상(傷)치 않으며,
비(脾)가 기울어지면 창만증(脹慢症)에 잘 걸린다‥‥내경(內經)
참고
내경(內經)에 왈(曰) ‥‥‥
비자(脾子)는 간의지관(肝議之官)이니 지주출언(智周出焉)이라 하고, 비자(脾子)는
창늠지본(倉之本)이요, 영지거야(榮之居也)라,
그화(奇花)는 재진사백(在四白)하고, 그충(其充)은 재기(才氣)하며, 지음지류(至陰至類)라 통어토기(通於土氣)니,
고장(孤臟)으로 이관사방(以灌四旁)하고, 비(脾)는 주사지(主四肢)하며, 위위행진액(爲胃行津液)이라 하고,
중앙황색(中央黃色)이 입통어비(入通於脾)하야 개규어구(開竅於口)하고,
장정어비고(藏精於脾故)로 병재설본(病在舌本)하고,
그미(其味)는 감(甘)이요, 그류(其類)는 토(土)요, 그축(其畜)은 우(牛)요, 그곡(其穀)은 직(稷)이요,
그응사시(其應四時)하야 상위진성(上爲鎭星)이니, 시이(是以)로 지병지재육야(知病知在肉也)요,
그음(其音)은 궁(宮)이요, 그수(基數)는 오(五)요, 그취(其臭)는 향(香)이요, 그액(其液)은 연(延)이라 하고,
중앙생습(中央生濕)하니, 습생토(濕生土)하고, 토생감(土生甘)하고, 감생비(甘生脾)하고,
비생육(脾生肉)하고 육생폐(肉生肺)하고, 비주구(脾主口)하고 그재천위습(其在天爲濕)이요,
재지위토(在地爲土)요, 재체위육(在體爲肉)이요, 재장위비(在藏爲脾)요, 재성위가(在聲爲歌)요.
재변동위(在變動爲)얼이요, 재지위사(在志爲思)니, 사상비(傷脾思)하고, 노승사(怒勝思)하며, 습상육(濕傷肉)하고,
풍승습(風勝濕)하며, 감상육(甘傷肉)하고, 산승감(酸勝甘)이라 하니라.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부의 오행설의 학술적 근거 (0) | 2010.12.24 |
---|---|
장부의 기능 (0) | 2010.12.24 |
고지혈증(콜레스테롤)에 좋은->녹차 (0) | 2010.12.14 |
★★자료: 여정자(광나무) (0) | 2010.12.14 |
심혈관 계통->혈관을 건강하게하는 방법 (0) | 2010.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