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에서 자료를 재 정리해 올림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땀을 많이 흘리고, 더위를 심하게 타는 이들은 물론 냉방병에 쉽게 걸리는 사람들은 두려움에 잠을 못 이룰 듯. 하지만 걱정 없다. 더위와 추위를 한번에 잡아주는 몸에 좋은 한방차가 있다.
“갈증, 땀, 두통, 소화불량… 여름철 불청객을 해결해주는 신통방통 건강차”
태양인_쉽게 여름을 타지 않는 체질. 담백한 음식과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사실 여름이 되면 몸에 이상이 오는 사람들이 많다. 체질에 따라 더위를 잘 먹는 이들도 있고, 냉방병에 시들한 사람도 있다. 더위를 먹었을 때의 증상은 땀과 열이 나고, 갈증을 느끼게 되며 얼굴이 지저분해지는 것. 이외에 두통이 생기고 기운이 달리기도 한다. 찬 음식을 과하게 먹거나 서늘한 곳에 오래 있다가 차가운 기운에 몸을 상하는 냉방병에 걸리게 되면 몸이 쑤시고 머리가 아프며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는 증상을 보인다.
땀을 많이 흘릴 때는 생맥산 땀을 많이 흘려서 기운이 없고 숨이 찰 때 효과가 있는 차. 여름철에 달여 놓고 물 대신 마시면 좋다. 제조법_맥문동 8g, 인삼·오미자 각 4g을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여기에 황기와 감초를 4g씩 넣거나 황백 0.8g을 넣어 달이면 기운이 더 좋아진다.
갈증을 없애주는 제호탕 조선시대 궁중에서 최고로 꼽던 여름철 음료로 ‘동의보감’에는 “더위를 풀어주고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른 것을 그치게 해준다.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의 기능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어 단옷날에 이를 마시면 여름을 잘 날 수 있다”고 한다. 껍질을 벗긴 매실을 짚불 연기에 그을려 말린 오매육이 주재료로, 오매육은 갈증과 설사, 기침에 효과가 있다. 제조법_오매와 사인, 백단향, 초과 등을 곱게 가루 내어 꿀에 버무려 끓였다가 냉수에 타서 마신다. 먼저 백청(맑고 깨끗한 꿀)을 끓이면서 가루로 만든 약재를 넣고 딱딱한 상태가 될 때까지 10여 시간 정도 중탕한다. 항아리에 담아 찬물이나 얼음물에 타서 마신다.
신맛으로 땀을 멎게 하는 오미자차 신맛,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등 다섯 가지 맛이 나는 오미자. 여름철에는 신맛이 나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새콤한 맛에 몸이 움츠러들면서 땀이 멈추고, 침이 고이며 갈증이 해결되는 것. 오미자의 신맛은 땀을 조절하며 더위를 식혀주는 효능을 갖고 있어 땀이 많이 나는 사람과 수험생의 여름철 건강에 좋다. 제조법_ 잘 씻은 오미자의 물기를 빼고 찬물에 오랫동안 담가 우려낸다. 꿀을 섞어 먹으면 신맛도 덜해지고 기운이 난다. 오미자를 끓여 먹으면 시어서 먹을 수 없으니 주의할 것.
여름철 식중독에 효과가 있는 매실차 매실차는 갈증 해소와 피로 회복에 효과적이다. 살균효과가 높아 배탈이나 여름철 식중독에 걸렸을 때 복용해도 좋다. 제조법_매실과 설탕을 1:1의 비율로 재워두었다가 액이 나오면 시원한 물과 섞어 마시면 된다. 매실육 엑기스(덜 익은 푸른 매실을 갈아 만든 즙을 끓인 것)를 물에 타서 차로 마셔도 된다.
냉방병에 걸렸다면 향유차 향유는 여름철에 생기는 병을 치료하는 데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약재이다. 더위 먹은 증상이나 토사곽란이 있을 때 향유를 즙내서 마시거나 즙을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냉방이 잘된 곳에 있다가 체온 조절능력이 떨어져 냉방병 증상이 나타났을 때 좋다. 위와 장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찬 것을 먹고 탈이 났을 때도 도움이 된다. 제조법 : 향유 20g을 물 1ℓ에 넣고 끓인 뒤 수시로 마시면 된다.
|
'쥔장->약초산행기 > 한방·민방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단풀(내금초,점박이풀) (0) | 2010.08.10 |
---|---|
산해박(서장경) (0) | 2010.08.10 |
좋은약초->부종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초소개 (0) | 2010.07.28 |
(자료) 허약체질에좋은약재->보혈약 (0) | 2010.07.24 |
(자료) 허약체질에좋은약재->보기약 (기(氣)가 모자란 병의 증세에 쓰는 약) (0) | 2010.07.24 |
댓글